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로 중국 경제가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다. 트럼프가 대중국 수입품에 최대 6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언하면서, 세계 2위 경제대국의 성장 전략에 빨간불이 켜져 GDP 2%포인트(p) 하락 위기 속 베트남·말레이시아로 생산기지 이전을 확대하고 있다고 28일(현지 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보도했다.
매쿼리캐피털의 래리 후 수석 중국 경제학자는 "60% 관세가 시행될 경우 12개월 내 중국의 총수출이 8% 감소하고 GDP가 2%p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바클레이스는 이러한 조치가 주요 서방 경제에도 약 1%의 타격을 줄 것으로 전망했다.
트럼프는 이미 취임 첫날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했다. 골드만삭스는 이러한 관세율이 20%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중국의 수출 의존도가 여전히 높다는 것이다. 지난달 중국의 수출액은 3090억 달러로 전년 대비 12.7% 증가했으며, 2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 정부는 이에 대응해 다양한 경기부양책을 검토 중이다. 바클레이스는 "미국의 관세 규모에 따라 2025년 최대 10조 위안 규모의 추가 재정 패키지가 도입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중국 기업들도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섰다. 둥관의 인솔 제조업체 대표 피터 왕은 "관세 부과 시 동남아시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할 수 있다"며 "미국 관세를 우회하기 위한 대안"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중국의 대미 수출 의존도는 점차 감소하는 추세다. 2017년 18.9%(4297억 달러)였던 대미 중국 수출 점유율은 2023년 14.8%(5002억 달러)로 하락했다.
알리안츠 트레이드는 "중국이 러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아랍에미리트(UAE) 등 지정학적으로 더 친밀한 파트너들과의 교역을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추세로 지정학적 연계 국가 간 무역이 2년 만에 세계 무역의 60%까지 증가했다.
상하이 금융개발연구소의 샤오위 소장은 "위안화의 상당한 평가절하가 하나의 대응책이 될 수 있다"며 "이는 관세 충격을 일부 흡수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무역 갈등이 글로벌 공급망 재편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베트남,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이 새로운 글로벌 무역 허브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미·중 무역전쟁이 새로운 국면을 맞는 가운데, 한국 경제에는 위기와 기회가 공존할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의 동남아 생산기지 이전이 가속화되면서 한국 기업들의 새로운 사업 기회가 열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베트남·말레이시아로 중국의 생산기지 이전은 한국 기업들에 새로운 수출 시장이 될 수 있다. 특히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핵심 부품과 소재 분야에서 기회가 클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무역협회 관계자는 "중국이 미국의 고율 관세를 피하고자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옮기면서 한국의 중간재 수출이 오히려 증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2018년 1차 미·중 무역전쟁 당시에도 한국의 대베트남 수출은 많이 증가한 바 있다.
다만 리스크도 존재한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 관계자는 "중국의 GDP가 2%p 하락할 경우 한국 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이 불가피하다"며 "특히 중국 내수시장을 겨냥한 기업들의 타격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첫째, 동남아 진출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중국 기업들의 이전에 발맞춰 현지 공급망에 참여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둘째, 수출 시장 다변화가 시급하다. 인도·중동 등 신흥시장 개척을 통해 중국 리스크를 분산해야 한다.
셋째,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이 필요하다. 단순 제조보다는 기술집약적 산업에 주력해야 한다.
산업부는 이미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동남아 진출 기업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을 확대하고, 현지 산업단지 조성도 검토 중"이라고 산업부 관계자는 밝혔다.
중소기업계도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베트남·인도네시아 등에 '한국 중소기업 전용 산단' 조성을 추진하고 있다"며 "공동 진출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겠다"고 설명했다.
향후 2년이 한국 경제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미·중 무역전쟁의 새로운 국면은 한국 경제에 구조적 변화를 불러올 것"이라며 "이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