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들이 중국을 대체할 새로운 비즈니스 성장의 핵심 시장으로 인도를 주목하고 있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일본 기업의 80.3%가 향후 1~2년 내 인도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이는 전년 대비 4.7%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반면 중국에서 사업을 확장하겠다는 기업은 21.7%에 그쳐 2007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치적 불안정성이 커진 태국도 34.1%로 전년 대비 8.1%포인트 하락했다.
인도 시장에 대한 긍정적 전망은 수익성 지표에서도 확인된다. JETRO 조사에서 응답 기업의 55%가 2024년 인도 사업에서 영업이익 증가를 예상했으며, 흑자를 전망하는 기업 비율도 77.7%로 200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본국제협력은행(JBIC)의 조사에서도 제조업체의 58.7%가 인도를 향후 3년간 '유망 국가'로 꼽아 3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10.1%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이러한 낙관적 전망의 배경에는 인도의 강력한 경제 성장이 자리 잡고 있다. IMF는 인도가 2023년 8.2% 성장에 이어 2024년 7.0%, 2025년 6.5%의 고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더욱이 2026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세계 4위 경제 대국으로 부상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인도 시장 진출에는 여전히 도전과제가 존재한다. 모디 정부의 정치적 기반 약화, 아다니 그룹 스캔들로 드러난 불투명한 사업 관행, 복잡한 인증 제도와 세금 규정 등이 주요 리스크로 지적된다.
특히 인도 표준국(BIS) 인증 대상 제품의 범위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일본 기업들의 부품 수출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높은 인건비와 이직률 증가도 새로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인도 시장에서의 성공이 장기적 안목을 요구한다는 것이다. 10년 이상 인도에서 활동한 일본 제조업체의 90%가 흑자를 전망하는 반면, 10년 미만 기업은 60% 수준에 그쳤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인도 진출은 제한적이다. 현재 인도에 진출한 일본 기업 중 중소기업 비중은 15% 수준에 불과하며, 대부분 성장이 기존 진출기업들의 사업 확장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기업들의 인도 시장 공략 확대는 한국 기업들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14억 인구를 보유한 인도가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본 기업들의 경험에서 배울 수 있는 핵심은 장기적 관점의 시장 접근이다. 10년 이상 인도 시장에서 활동한 기업들의 90%가 흑자를 달성한다는 점은 인내심을 갖고 시장을 개척해야 함을 시사한다.
다만 인도 시장 진출 시 고려해야 할 리스크도 분명하다. 복잡한 인증 제도와 세금 규정, 높은 인건비와 이직률 등은 한국 기업들도 직면할 수 있는 과제다.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이러한 진입장벽을 극복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기업들은 일본 기업들의 경험을 참고하여, 인도 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진출 전략을 수립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시장 개척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