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빌딩을 건설했던 도급순위 58위의 중견업체인 신동아건설이 결국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에서 벗어난 지 5년 2개월 만이다. 태영건설 워크아웃 이후 사그라들었던 부동산 부도 공포가 되살아날 수밖에 없는 분위기다.
신동아건설의 부도가 다른 중견 건설사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공동으로 짓는 아파트 단지의 경우 다른 시공사들이 나머지 사업 부담을 떠안을 수밖에 없다.
지난해 부도가 난 건설업체는 30여 곳이다. 2019년 이후 최대치다. 1년 전의 21곳에 비해서도 9곳 늘어났다.
건설업 부도의 83%는 지방 소재 건설사다. 지방 건설사의 경우 자금력과 경쟁력이 비교적 약한 편이다. 지역별로는 부산의 부도 건설사가 6곳으로 가장 많다.
경기와 전남에서도 각각 4건의 부도가 발생했다. 부동산 건설 경기가 양호한 서울에서도 전문 건설업체 1곳이 부도났을 정도다.
올해도 부동산 경기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태다. 금리 인하와 건설 경기 회복 기대감은 사라지고, 국내 정치 불안에다 트럼프 정부 2기 출범 등 부정적인 변수만 늘고 있다.
특히 고금리와 공사비 급등에 선별 수주를 받아야 하는 시장 상황은 나아질 기미조차 없다. 게다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는 한계 상황에 다다른 건설사의 경영난을 반영한다.
정기 도급계약이 어려운 중견 건설사의 폐업과 부도가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
여기에다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축소도 건설사로선 악재다. 올해 건설투자는 지난해보다 1.2% 하락할 전망이다. 지난해의 건설투자는 302조원으로 1년 전보다 1.4% 줄었다.
부동산 PF 불확실성이 올해에도 이어지면 건설투자 감소 폭은 더 확대될 수도 있다. 부동산 PF 부실 여파로 부동산 신탁사의 부실 자산도 4조원을 넘어섰다.
시공사들의 도산이 책임 준공 부담을 가진 신탁사로 전이되고 있는 셈이다. 예삿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