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새 해양정책을 본격 추진할 태세다. 트럼프의 파나마 운하에 대한 통제력 확보나 그린란드 매입 발언은 지구촌을 충격에 빠트리고 있을 정도다.
캐나다에 대해 미국의 51번째 주가 되면 세금 등 여러 가지 혜택을 볼 것이라고 한 트럼프의 작심 발언도 같은 맥락이다.
나아가 한국 등 우방국과의 조선업 협력을 통한 해상 지배권 강화도 시도 중이다. 미국의 새 해양정책 구상의 목표는 러시아와 중국을 견제하는 것이다.
트럼프는 지난달 22일 파나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다시 확보하겠다고 밝혀 파문을 일으켰다. 태평양과 대서양을 연결하는 파나마 운하는 세계 해상운송의 6%를 차지하는 길목이다. 아시아에서 미국 동부로 가는 물동량을 처리하는 데 중요한 전략 포인트 중 하나다.
파나마 운하를 건설한 것은 미국 자본과 노동력이다. 하지만 최근 미국 상선들은 파나마 운하에 대해 불만이 많다. 파나마 운하의 5개 항구 중 2곳 운영사가 홍콩의 CK하치슨 홀딩스다.
그린란드는 러시아와 중국의 북극 진출 거점이다. 미국은 트럼프 1기 정부 시절 그린란드 매입을 추진했다가 덴마크의 반발에 부딪힌 전력도 있다.
하지만 기후변화로 북극 항로에 대한 미국의 관심은 더 높아진 상태다. 1867년 러시아로부터 알래스카를 구입한 사례를 떠올리며 북극권 선점 의지를 불태우는 이유다. 미국의 새 해양전략은 북극 지역에서의 이익 확보를 7번째 과제로 제시하고 있을 정도다.
미 의회가 초당적으로 선박법을 정비한 것도 새 해양정책의 일환이다. 핵심은 미국 화물을 미국이 건조한 선박으로 실어 나르도록 한다는 것이다.
트럼프가 한국과의 조선업 협력을 일관되게 강조하는 배경이다. 상선과 전함 모두 중국에 밀릴 수 없다는 의지인 셈이다.
한국 조선업에는 호재다. 미국 한화쉬핑을 통해 필리 조선소와 넥스트디케이드 조선소를 인수한 한화그룹의 발 빠른 대응도 놀랍다. 미 선박법은 해양정책 중에서도 제1호 과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