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차세대 스텔스 전투기 'J-36'이 지난해 12월 26일 첫 비행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6일 군사 전문가들의 말을 인용해 이 신형 전투기가 전투 드론을 지휘하는 통제 본부 역할을 할 것으로 보도했다.
SCMP에 따르면, 중국 최대 전투기 제조업체가 있는 선양과 청두 지역에서 꼬리 없는 새로운 전투기 2대가 목격됐다. 중국군은 동부전구 사령부의 새해 뮤직비디오에서 이 전투기와 유사한 이미지를 공개하며 간접으로 개발 사실을 확인했다.
전문가들은 J-36의 특징적인 꼬리 없는 설계가 기동성보다 스텔스 성능을 강화하기 위한 선택이라고 분석했다. 미 공군 전 전투기 조종사 존 워터스는 "근접 공중전보다 낮은 피탐지율에 중점을 둔 설계"라고 평가했다.
호주 공군 출신 피터 레이튼은 J-36이 러시아의 장거리 요격기 MiG-31과 유사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했다. 최대 이륙중량이 45t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는 J-36은 장거리 호위 임무와 전략적 방공 임무를 수행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J-36의 네트워크 중심 전쟁 수행 능력이다. 해군 분석가 루궈웨이는 "J-36이 전투 드론과 J-20, J-35A 전투기를 지휘 통제하는 노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첨단 레이더와 센서를 통해 더 먼 거리에서 스텔스 항공기를 탐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스팀슨 센터의 켈리 그리코 연구원은 "중국의 차세대 항공기가 유·무인기 협동 작전 개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며 "실시간 상황 인식 향상과 AI 분석을 통해 전쟁 수행 속도를 가속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J-36은 음속의 4배가 넘는 속도로 400km 거리의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는 PL-17 초장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크기와 무게 때문에 항공모함 탑재는 어려울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J-36의 등장이 중국군의 전략 변화를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전통적인 일대일 공중전에서 벗어나 네트워크화된 통합 전투 체계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미 공군의 차세대 공중우세 프로그램과 유사한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6세대 전투기 J-36 개발은 한국 등 서방권 항공산업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네트워크 중심 전쟁과 유·무인기 협동 체계로의 전환은 한국의 항공 전력 발전 방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첫째, 스텔스 기술과 네트워크 중심 전투 체계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이 개발 중인 KF-21과 미래 전투기 사업에서도 이러한 요소들을 적극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투 드론과의 협동 작전이 미래 항공전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도 유·무인기 복합운용 체계 개발과 관련 기술 확보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AI와 첨단 센서 기술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 항공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핵심 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투자를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