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 업계 최강자인 오픈AI의 영리 법인 추진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주도하고 있는 영리화 저지 소송에 AI 전문 시민단체로 유명한 인코드가 합류해 관련업계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30일(현지시각)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인코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연방지방법원에 오픈AI의 영리 법인 전환 중단을 요구하는 의견서를 최근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코드 측 변호인은 이 의견서에서 “오픈AI의 영리 전환은 AI 기술을 공공의 이익을 위해 안전하게 개발하고 배포한다는 초기 설립 목표를 저버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코드는 “오픈AI가 영리 기업으로 전환되면 주주 이익과 공공의 이익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는 법적 의무가 약해질 것”이라면서 “특히 비영리 오픈AI의 이사회가 기존 투자자들의 지분을 취소할 수 있었던 권한도 영리 기업으로 전환되면 사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인코드는 “AI 기술 개발의 투명성과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공공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삼는 비영리 구조가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머스크 CEO는 지난달 오픈AI를 상대로 캘리포니아주 연방법원에 낸 소장에서 “오픈AI가 초기 설립 당시 약속한 ‘인류 공익을 위한 AI 개발’이라는 목표를 포기했다”며 오픈AI의 영리 법인화 추진을 중단시킬 것을 요청한 바 있다.
머스크는 “오픈AI와 오픈AI의 최대 후원사인 마이크로소프트(MS) 간 협력 관계가 오픈AI를 상업성에 초점을 두는 기업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면서 “이는 AI 기술의 안전성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오픈AI의 영리 법인화를 반대하는 움직임에는 테슬라와 인코드뿐 아니라 세계 최대 소셜미디어 페이스북의 모기업인 메타플랫폼스도 가세한 모양새다.
메타는 최근 캘리포니아주 법무부 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오픈AI의 영리화가 실리콘밸리 전체에 '지진과 같은 충격'을 미칠 것”이라고 주장했다.
메타는 특히 AI 기술 개발 과정에서 공공의 안전성과 투명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오픈AI의 지배 구조 변경이 AI 업계에 부정적인 선례를 남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오픈AI는 영리 법인화 추진은 AI 연구 개발을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반박했다.
오픈AI는 “기술 개발 및 연구를 위해서는 막대한 자금이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해 투자자들의 협력과 영리 구조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오픈AI는 비영리 부문은 존속될 예정이며 새로운 지배 구조 하에서도 공공의 이익을 우선시할 것이란 입장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