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청정수소 생산비용을 유럽의 1/4 수준으로 낮추는 파격적인 보조금 정책을 발표하며 글로벌 수소시장의 지각변동을 예고했다.
워싱턴포스트는 3일(현지시각) 바이든 행정부가 발표한 청정수소 세금공제 최종안으로 세계 수소산업의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수소경제 선도국을 표방하는 한국에도 위기이자 기회가 될 전망이다.
바이든 행정부의 최종안은 환경과 산업 경쟁력을 모두 고려했다. 재생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에는 최대 수준의 지원을, 천연가스나 원자력 기반 생산에도 조건부 지원을 제공한다. 이 보조금으로 녹색 수소 생산비용이 킬로그램당 4달러 이상에서 0.9~1.2달러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의 4유로 대비 크게 낮은 수준이다.
시장은 빠르게 반응하고 있다. 노르웨이 수소기업 Nel이 유럽 대신 미시간주에 5억 달러 규모 공장 설립을 결정한 데 이어, 여러 글로벌 기업들도 미국 투자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미국 에너지부는 2030년까지 연간 1000만 톤, 2050년까지 5000만 톤 청정수소 생산을 목표로 세웠다. 수소 산업 생태계는 2030년 1400억 달러, 2050년 75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다만, 현실적 과제도 있다. 재생에너지 설비 부족, 전해조 기술의 초기 단계, 높은 초기 투자 비용이 걸림돌이다. 트럼프 취임 이후 정책 변화 가능성도 시장의 우려 요인이다.
아시아 국가들은 독자적 대응에 나섰다. 한국과 일본은 청정수소 시장 육성을 위해 차액정산계약(CfD) 제도를 도입한다. 일본은 이미 공급측 보조금을 시작했고, 한국도 청정수소 발전 입찰 시스템을 준비 중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APAC 녹색수소동맹'을 통해 협력을 강화한다. 호주는 풍부한 태양광과 풍력 자원을 바탕으로 역내 수소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전략이 필요하다. 자체 기술력 확보와 함께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이 중요해졌다. 특히, 전해조 기술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투자 확대가 시급하다.
바이든 행정부의 보조금 정책은 글로벌 수소 산업 지형을 바꿀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경쟁력 약화가 우려되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술 혁신과 시장 확대를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이 수소경제 선도국 지위를 지키려면 발 빠른 대응이 필요한 시점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