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증시 전망
전문가들은 중국 증시의 추가 하락을 전망했다. 지난해 9월 시진핑 주석의 경기 부양 신호로 촉발된 증시 반등이 구체적 정책 부재로 동력을 잃은 상황이다.
스탠다드차타드는 CSI 300 지수가 4300까지, 골드만삭스는 4600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지만, 대다수 전문가는 중국 소비시장 회복 여부에 회의적인 입장을 보였다.
◇ 아시아 외환시장 전망
미 달러화 대비 아시아 통화 약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됐다. 트럼프의 보호무역 정책 강화로 인플레이션이 재점화될 경우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제한적일 수 있다고 분석한다.
특히 중국 위안화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을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 원화와 태국 바트, 말레이시아 링깃 등도 중국과의 무역 연계로 취약성이 우려된다.
◇ 글로벌 전기차 시장판도 변화
중국 BYD의 테슬라 추월이 현실화될 전망이다. BYD는 2024년 176만대를 판매해 테슬라(179만대)와 격차를 좁혔다.
태국을 시작으로 터키, 헝가리, 브라질 등에 공장을 설립하며 글로벌 생산기지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신흥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무기로 급성장이 예상된다.
◇ 일본 정치 지형 변화
7월 총선이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이며, 군소 정당들과의 연립 구도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한다.
◇ 미·중 통상갈등 향방
트럼프의 대중 60% 관세 부과는 실현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했다. 인플레이션 우려와 중국의 선제적 대응이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기존 관세는 유지되거나 일부 품목에서 강화될 가능성이 있다. 트럼프의 1월 취임식 시진핑 초청 여부도 주목된다.
◇ 북·미 관계 재설정
트럼프-김정은 정상회담 재개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트럼프가 우크라이나, 이스라엘 사태 해결에 우선순위를 둘 것으로 보이며, 한국의 정치적 혼란도 변수다.
특히 북한이 러시아와의 협력을 강화하며 얻고 있는 실익이 회담 재개의 걸림돌이 될 전망이다.
◇ 인도네시아 수도 이전 계획
누산타라로의 수도 이전은 2025년까지 완료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됐다. 입법부·사법부 사무실 건설이 2025년에야 시작되며, 대통령 집무실도 2028년 이후에나 사용 가능할 전망이다. 프라보워 신임 대통령의 무상급식 등 복지정책 추진으로 예산 제약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2025년은 트럼프 재집권으로 인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가 아시아 경제의 최대 변수가 될 것"이라며 "특히 미·중 갈등 심화가 역내 금융시장과 실물경제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