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가계부채 증가속도가 선진국 중 두 번째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자영업자 부실대출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25일 우리금융연구소에 따르면 한국의 최근 5년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은 1.5%로, 선진국 가운데 홍콩(5.5%)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국제결제은행(BIS) 분석에 따르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올해 1분기 말 92%로, 스위스, 호주, 캐나다, 네덜란드 등에 이어 다섯 번째로 높았다. 다만 이 비율은 2021년 3분기 말 최고치(99.2%)를 기록한 후 올해 1분기 말까지 지속해서 낮아졌다.
이는 국내 명목 GDP가 가계부채보다 빠르게 늘어나서인데, 최근 5년간 연평균 가계부채 증가율의 경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한국보다 높은 스위스(0.5%), 호주(-2.4%), 캐나다(-0.3%), 네덜란드(-4.3%)보다도 높았다.
한국의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순위는 약 10년 전부터 계속해서 오름세다. 2012~2013년 43개국 중 15위에서 2014년 14위, 2015년 11위, 2016~2018년 10위, 2019년 9위, 2020년 8위, 2021년 6위, 2022년 5위 등이다.
다만 가계부채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주택담보대출 증가는 주요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크지 않다고 연구소는 분석했다.
한국의 주택 구입 목적 가계대출 비중은 지난해 기준 60.2%로, 글로벌 평균인 66.8%를 밑돈다. 또 소득 대비 부동산 가격도 2015년 이후 지난해까지 8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연구소는 자영업자 대출 연체를 가계부채 주원인으로 지목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2022년 2분기 말 0.56%에서 올해 2분기 말 0.94%로 올랐는데,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동기간 0.50%에서 1.56%로 큰 폭 올랐다. 취약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10.2%에 달했다.
연구소 측은 “한국 가계부채의 연착륙을 위해서는 주택시장의 안정과 함께 자영업자의 소득과 생산성 개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