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3년 대비 60%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했다.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중간 목표로, 재생에너지 확대와 산업 부문의 감축 노력이 요구된다고 24일(현지시각) 닛케이가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2030년까지 46% 감축 목표에서 더 나아가 2035년까지 60% 감축을 목표로 하는 새로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목표를 논의 중이다. 이는 지구 온난화 방지를 위한 파리 협정에 따른 것으로, 일본은 내년 2월까지 유엔에 업데이트된 목표를 제출해야 한다.
새로운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 도입 가속화가 필수적이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원과 함께 원자력 에너지 사용도 늘려야 한다. 특히 발전소를 포함한 산업 부문에서 배출량 감소 속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자원 부족 국가로, 기후 변화 대응과 경제 성장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야 하는 어려움을 안고 있다. 하지만 환경부는 산림 흡수 등을 제외한 온실가스 배출량이 2022년 기준 2013년 대비 22.9% 감소했다며 목표 달성에 대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번 감축 목표 설정은 국제사회의 기후 변화 대응 노력에 동참하는 동시에, 일본의 에너지 정책 전환을 가속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정부가 2035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3년 대비 60%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하면서 한국 에너지 정책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다.
일본의 이번 발표는 한국 정부가 추진하는 '2050 탄소중립' 목표와 유사한 맥락이지만, 감축 목표 시점을 2035년으로 설정하면서 한국보다 더 빠른 속도로 탈탄소화를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한국 정부는 일본의 탈탄소화 정책 변화를 예의주시하며, 국제사회의 움직임에 뒤처지지 않도록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의 적극적인 감축 목표 설정은 한국에 탈탄소화 경쟁을 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 특히, 양국 모두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지니고 있어, 산업 부문의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기술 개발 경쟁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해 감축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계획이다. 한국 역시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는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 중이지만, 원전 및 석탄 발전 의존도가 높아 재생에너지 확대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일본의 이번 발표는 한국 정부에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을 가속해야 한다는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본은 자원 부족 국가로서 에너지 안보와 경제 성장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 역시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아, 탈탄소화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에너지 안보와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일본은 파리 협정에 따라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기후 변화에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국 역시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탈탄소화 목표를 달성하고, 기후 변화 대응 리더십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