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가 모두 적극적인 재정 확대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워 금융시장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누가 당선되더라도 단기적으로는 미국 국채금리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미국 국채에 대규모 투자한 국내 은행, 보험, 증권 등 금융사들의 평가손실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또 미국 채권금리 상승은 한국의 기준금리와 별개로 한국 국채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한·미 금융권에 따르면 뉴욕 채권시장에서 5일(현지 시각) 오전 1시38분 기준 10년 만기 국채금리는 4.2930%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지난 9월(3.6%)과 비교하면 큰 폭으로 상승한 수치다. 시장에서는 트럼프가 당선될 경우 감세와 규제완화 정책으로 인해 10년물 국채금리가 최대 5%까지 치솟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해리스가 당선되더라도 중산층 지원 확대 등 확장 재정 정책으로 인해 금리 상승세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미국의 초당파 비영리기구인 '책임 있는 연방예산위원회(CRFB)'는 해리스의 공약이 향후 10년간 재정 적자를 3조5000억 달러 증가시킬 것으로 분석했다. 트럼프의 경우 이보다 두 배 이상 많은 7조5000억 달러의 재정 적자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재정 적자 증가로 미국 국채금리가 급등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해리스의 경우 트럼프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정 확대 폭이 작을 것으로 예상돼 금리 상승 압력도 트럼프 당선 때보다는 제한적일 수 있다는 관측이다.
연방준비제도(Fed)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하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두 후보의 공약이 모두 재정건전성과 물가안정에 불확실성을 더하는 만큼, 연준이 큰 폭의 금리 인하에 나서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문제는 미국 채권금리 상승이 국내 금융권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사업 특성상 장기 채권을 다량 보유한 보험사들의 우려가 크다.
한국은행 국제국 외환분체계개선반의 분석에 따르면 해외채권 금리가 1%포인트 상승할 경우 보험업계가 떠안게 될 평가손실은 약 11조3000억원(89억2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2023년 6월 말 기준 국내 보험사의 해외채권 투자 잔액은 765억6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2019년 말 1114억2000만 달러였던 최고치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한 수치다. 감소세의 주된 원인은 채권금리 상승에 따른 평가손실 확대로 분석된다.
더욱이 미국 채권금리 상승은 한국의 기준금리와 별개로 한국 국채금리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국내외 채권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는 은행, 보험사, 증권사, 연기금 등 금융권 전반의 리스크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해질 전망이다.
국제금융센터의 김융경 부장은 “미 국채금리는 대선 결과에 따라 재정 악화 우려가 재부상하면서 과거보다 단기 급등에 더 취약해질 소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다정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426w@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