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인공지능(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자체 AI 서버 생산에 나섰다.
6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 보도에 따르면, 애플은 아이폰 제조 파트너인 폭스콘에 AI 서버 생산을 요청했다. 하지만 폭스콘의 생산 여력이 부족해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으며, 애플은 레노버 등 다른 협력사를 물색하고 있다.
애플은 아이폰, 맥북 등 자사 기기에 탑재될 '애플 인텔리전스'의 생성형 AI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자체 AI 서버를 구축하려는 계획이다.
애플은 폭스콘의 엔지니어링 역량과 연구개발(R&D)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대만에서 AI 서버를 생산하려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폭스콘은 엔비디아의 AI 서버 생산 물량 증가로 애플의 요청을 모두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폭스콘은 애플의 최대 아이폰 공급업체이지만, 동시에 엔비디아의 AI 서버를 생산하는 주요 파트너이기도 하다.
문제는 엔비디아의 'GB200' AI 컴퓨팅 시스템 수요가 폭증하면서 폭스콘의 생산 능력이 한계에 도달했다는 점이다.
업계 소식통은 "폭스콘이 엔비디아 서버 주문을 처리하는 데 집중하면서 애플의 AI 서버 생산 요청을 모두 소화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애플은 폭스콘 외에도 레노버, LCFC(레노버 자회사), USI 등 다른 기업들과 AI 서버 생산 협력을 논의 중이다.
소식통에 따르면, 애플은 레노버와 동남아시아에 새로운 서버 생산 시설을 구축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다. 또한, USI와 같은 소규모 업체에도 생산 지원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AI 서버 생산은 고도의 기술력과 전문성을 요구한다. AI 서버는 핵심 부품, 방열 기술, 소프트웨어 등을 통합하는 복잡한 제조 공정을 거친다. 또한, AI 서버 생산 라인 구축에는 막대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다. 특히, 냉각 시스템 구축에만 수 천만 달러가 소요될 수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엔비디아의 AI 서버를 만족스럽게 생산할 수 있는 업체는 폭스콘, 콴타 컴퓨터, 위스트론, 슈퍼마이크로 등 극소수에 불과하다.
애플은 '애플 인텔리전스'를 아이폰16 시리즈의 핵심 기능으로 내세우며 AI 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애플 인텔리전스'의 기능 확장과 서비스 지역 확대를 위해서는 AI 서버 확보가 필수적이다. 애플은 AI 서버 생산 파트너 확보와 자체 AI 생태계 구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애플의 AI 서버 생산 계획은 아직 초기 단계다. 폭스콘과의 협상, 레노버 등 다른 파트너십 모색, 기술 내재화 등을 통해 애플이 AI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애플은 '애플 인텔리전스'를 아이폰16 시리즈의 핵심 기능으로 내세웠다. 하지만 AI 서버 확보에 차질이 생기면서 '애플 인텔리전스' 서비스 제공이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는 한국 아이폰 사용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애플 인텔리전스'는 아직 한국어를 지원하지 않지만, 향후 한국어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AI 기능은 아이폰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만약 AI 서버 부족으로 서비스 제공이 지연되거나 기능이 제한된다면, 아이폰의 매력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애플의 AI 서버 생산 난항은 한국 AI 반도체 기업들에 기회가 될 수 있다.
애플은 현재 엔비디아의 GPU에 의존하고 있지만,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기업들과의 협력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 AI 반도체 기업들은 기술력과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애플과의 협력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 AI 반도체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기술 개발과 투자를 확대해야 하며, AI 스타트업 육성, 인재 양성, 데이터 확보 등을 통해 국내 AI 생태계를 강화해야 한다.
또한, 미·중 갈등 속에서 안정적인 AI 서버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 '탈중국' 전략을 고려해야 한다.
애플의 AI 서버 생산 난항은 한국 아이폰 시장과 IT 생태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국은 이를 기회와 위협 요인으로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