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中 자동차 업계, 정부에 EU산 휘발유차 ‘최대 25%’ 관세 부과 촉구

최용석 기자

기사입력 : 2024-06-21 11:38

중국 자동차 업계가 유럽연합(EU)산 휘발유 차량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2023 뮌헨 오토쇼에 개설된 중국 비야디 부스 모습.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자동차 업계가 유럽연합(EU)산 휘발유 차량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2023 뮌헨 오토쇼에 개설된 중국 비야디 부스 모습. 사진=로이터
중국 자동차 업계가 유럽연합(EU)산 휘발유 차량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20일(현지 시각) 영국 BBC는 중국 관영 매체를 인용해 중국 자동차 회사들이 EU의 중국산 전기차의 관세 인상에 맞서 보복성 조치로 EU산 자동차에도 고관세를 부과할 것을 정부에 촉구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관영 매체에 따르면, 현지 자동차 업계의 이러한 요청은 중국 상무부 주최로 주요 자동차 업체 대표들이 참석해 베이징에서 열린 비공개회의에서 나왔다. 해당 회의에는 중국업체 4곳과 폭스바겐을 포함한 EU 업체 6곳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중국업체 대표들은 상무부에 EU에 대한 단호한 대응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하면서 배기량 2500cc 이상 EU산 휘발유 차량에 최대 25%의 관세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중국 자동차 업계의 요청이 받아들여져도 EU 측에는 큰 타격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자문회사 오토모빌리티의 빌 루소는 BBC를 통해 “(중국 자동차 업계의 추가 관세 요구 대상은) 고급형 또는 초 고급형 차량이 주요 대상이 될 것”이라며 “이는 추가 관세가 중국 수출 물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을 것 같다”고 전했다.

앞서 EU는 8개월에 걸친 반보조금 조사를 바탕으로 지난 12일 중국산 전기차에 잠정적으로 17.4%∼38.1%의 추가 관세 부과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7월 4일부터 EU로 수입되는 중국산 전기차에는 기존 관세율 10%를 더해 최소 27.4%에서 최대 48.1%의 관세가 부과된다.
이에 중국 상무부는 보복성 조치로 EU산 돼지고기에 반덤핑 조사에 착수한 데 이어, EU산 유제품에도 무역 조사 가능성을 내비치며 EU를 압박하고 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
BMW X1 차주, 볼보 순수전기차 C40을 타다. "다시 봤다! 볼보 너란 애!!"
국산 플래그십 '제네시스 G90'...여사님께도 잘 어울리는 플래그십 모델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포르쉐 못지 않은 스펙, 또 다른 드림카 마세라티 그레칼레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