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포스코인터, 영일만 석유‧가스전 참여하나?

액트지오, 미얀마 가스전 협업 이력 언급에, 가능성 제기
포스코인터 “관련 없다”지만, 동해-2 가스전 참여 경험
종합무역상사로 프로젝트 경험 및 석유‧가스 수출도 진행
포스코그룹 브랜드 인지도, 사업 신뢰성 높일 수 있어

채명석 기자

기사입력 : 2024-06-09 14:00

동해-1 가스전 가스생산시설 전경.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동해-1 가스전 사업에 참여해 한국석유공사와 사업 생산에 성공했다. 사진=한국석유공사이미지 확대보기
동해-1 가스전 가스생산시설 전경.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동해-1 가스전 사업에 참여해 한국석유공사와 사업 생산에 성공했다. 사진=한국석유공사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윤석열 대통령의 시추 승인으로 탐사가 본격화하는 경북 포항 영일만 심해 석유‧가스전(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 사업에 참여할 가장 유력한 국내 기업으로 지목되고 있다.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매장 분석을 담당해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 지난 5일 방한한 미국 액트지오(Act-Geo)의 비토르 아브레우 고문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를 통해 액트지오가 여러 기업과 일을 진행한 바 있다고 설명하면서 국내 기업으로 포스코를 지목해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와 관련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액트지오 측에서 포스코(포스코인터내셔널)와 미얀마 가스전 개발 과정에서 협업한 이력이 있다고 이야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포스코인터내서녈은 동해 심해‧가스전 개발과 관련된 건 없다”고 설명했다.
공기업인 한국석유개발공사가 주도하는 영일만 심해 석유‧가스전 사업은 실제 매장 여부를 확인하는 시작 단계이므로, 매장 여부를 확인한 뒤에 개발 프로젝트의 구체적인 사항이 드러날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당장 국내외 기업의 참여를 논의하는 건 시기상조다. 해저 석유‧가스전 개발 프로젝트는 평균 20년 정도의 기간이 소요되는 인내심을 가져야 하는 기다림의 사업이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주도하고 있는 미얀마 가스전 사업도 1990년대 초에 시작해 2013년에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2035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하는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개발 사업은 짧은 기간인 만큼 성공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반증한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설명한다.

실제 매장량이 확인됐을 경우 포스코인터내셔널의 참여 가능성은 매우 높다. 미얀마 가스전 성공으로 자원개발 사업을 확대하고 있는 회사는 지난해 포스코그룹 자회사로 액화천연가스(LNG) 비축 및 국내 판매 인프라 사업을 영위하던 포스코에너지를 흡수합병했다. 또한 호주의 LNG 개발업체인 세넥스 에너지(SENEX Energy)를 인수함으로써 LNG 사업의 수직계열화를 완성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동해 가스전 사업에도 참여했다. 회사가 30% 지분(석유공사 70%)으로 참여한 국내 대륙붕 6-1 중부 광구가 ‘동해-2 가스전’이라는 명칭으로 2016년 11월 상업 생산에 성공한 바 있다. 에너지 업계에서는 동해-2 가스전으로 포스코인터내셔널이 석유공사와 높은 신뢰 관계를 쌓은 만큼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사업이 본격화한다면 석유공사가 가장 먼저 손을 잡을 업체가 될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고 보고 있다.
종합무역상사인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자원개발 사업을 추진하면서 금융기관 등 투자자를 모집하는 것은 물론, 생산한 자원을 구매기업을 물색하는 작업과 함께 지원의 삼각무역 등 프로젝트 수행 노하우가 가장 풍부한 업체로 꼽힌다. 정부는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이 상업 생산에 성공한다면 수출도 추진하겠다고 언급했다. 포스코인터내셔널의 해외 네트워크가 필요하다.

포스코그룹의 신인도 또한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 프로젝트의 신뢰성 증대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철강업체인 포스코는 철광석과 유연탄 등 연‧원료 확보를 위한 해외 자원개발 프로젝트에 집중해 왔고 호주 로이힐(Roy Hill) 프로젝트를 성공시켰으며, 이차전지 소재인 니켈 등의 개발 사업으로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성공 가능성 논란이 있지만, 과거와 달리 시추‧탐사 기술이 발달했고, 예전에는 상업성이 없다고 했던 적은 매장량의 광구에서도 수익을 낼 수 있을 만큼 생산 기술도 고도화됐으므로 동해 심해 석유‧가스전에 기대를 걸어볼 만하다”라면서 “포스코 등 국내 기업들이 적극 참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
가장 대중적인 스포츠카, AMG A35 4매틱
BMW X1 차주, 볼보 순수전기차 C40을 타다. "다시 봤다! 볼보 너란 애!!"
국산 플래그십 '제네시스 G90'...여사님께도 잘 어울리는 플래그십 모델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