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이를 실제로 현금화할 경우 시장에 심각한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11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현재 약 2억6160만트로이온스(약 8200톤)의 금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온스당 42.22달러(약 6만1644원)로 평가해 총 110억 달러(약 15조9775억 원)의 가치를 책정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금 시세인 온스당 약 2920달러(약 424만1300원)를 적용하면 이 금의 가치는 약 7650억 달러(약 1111조1625억 원)에 달한다. NYT는 “이는 회계상 평가 방식을 시가로 변경하면 약 7500억 달러의 추가 수익이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주도한 행정명령에 따라 미국의 자산을 '현금화'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우리는 미국의 자산을 국민을 위해 현금화할 것"이라며 "매우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인프라스트럭처 캐피털 어드바이저스의 제이 해트필드 최고경영자(CEO)는 이같은 회계 조정이 실제로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금을 대량으로 매각하려 한다면 이는 금 시장에 '아마겟돈'과 같은 충격을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
US뱅크 웰스 매니지먼트의 롭 호워스 선임 투자 전략가도 미국의 금 매각이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중앙은행들의 금 매입이 최근 금 가격 상승의 주요 요인이었는데 미국이 대량으로 금을 매각한다면 그 반대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같은 논의는 베센트 장관이 트럼프 행정부의 경제 정책을 추진하면서 재정 적자를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고 NYT는 전했다. 현재 미국의 재정 적자는 급증하고 있으며 미 하원의 공화당 의원들은 추가로 6조5000억 달러(약 9441조2500억 원)의 부채를 늘리는 법안을 검토 중이다. 이에 따라 정부의 이자 지출은 메디케어와 국방비 지출을 초과하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