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기업들이 트럼프 재선에 따른 대중 관세 강화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닛케이가 12월 2일부터 18일까지 145개 기업의 회장 등 경영진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40% 이상의 기업이 중국 사업 전략 재검토를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따르면 중국에서 사업을 운영 중인 기업 중 8.6%가 "전략을 재검토하겠다", 32.4%가 "재검토를 고려하겠다"고 응답했다. 이는 트럼프가 중국산 제품에 대해 최대 60%의 관세 부과를 시사한 데 따른 것이다.
특히 기업들은 트럼프의 재선이 경영에 미칠 영향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응답 기업의 38.9%가 "부정적" 또는 "다소 부정적"이라고 답했으며, "긍정적" 또는 "다소 긍정적"이라는 응답은 17.6%에 그쳤다.
최대 우려 사항으로는 "수입품 관세 인상"(68.3%)이 꼽혔으며, "지정학적 리스크 증가"(43.4%), "인플레이션 회복"(36.6%)이 뒤를 이었다. 트럼프는 중국뿐 아니라 멕시코, 캐나다에 25%, 기타 국가에 10%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일본 기업들의 공급망 재편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다. 리코는 미국 수출용 프린터와 사무기기 생산을 중국에서 태국으로 이전할 계획이다. 한 자동차 부품업체 임원은 "관세 영향에 따라 생산·공급 시스템과 가격을 재검토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토레이의 오야 미츠오 사장은 "공급망 다각화와 복잡한 지정학적 상황을 고려한 리스크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토리홀딩스의 니이나미 타케시 CEO는 "한국, 인도 등과의 프렌드쇼어링을 통해 미국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제언했다.
다만 환경 정책에 대해서는 다른 입장을 보였다. 트럼프가 파리기후협약 탈퇴와 바이든의 탈탄소화 정책 축소를 예고했음에도, 95%의 기업이 탈탄소화 전략을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트럼프 2기 행정부에 대해 규제 완화(40%), 대규모 감세(35.2%), 미·일 관계 개선(33.8%) 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정책 이행의 불확실성도 여전히 남아있다는 평가다.
일본 기업들의 트럼프發 통상위기 대응이 한국 기업들에 주는 시사점이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특히 공급망 다변화와 우방국과의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한 경제연구소 관계자는 "일본 기업들이 중국 사업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는 것처럼, 한국 기업들도 대중 의존도 조정과 리스크 관리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공급망 재편도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한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리코의 태국 이전 사례처럼, 한국 기업들도 생산기지 다변화를 통한 리스크 분산이 필요하다"며 "특히 미국 수출 품목의 생산거점 재배치를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프렌드쇼어링(우방국 중심 공급망) 전략도 주목할 만하다. 한 무역협회 관계자는 "일본이 한국, 인도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은 우리에게도 기회"라며 "우방국들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미·중 리스크를 분산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환경 정책에서는 일관성 유지가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한 기업연구소 연구원은 "일본 기업들이 탈탄소화 전략을 고수하는 것처럼, 장기적 관점에서의 환경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