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한때 주가가 4만원대까지 하락한 삼성전자가 향후 1년 동안 10조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결정하면서 주가 하락세가 진정세로 간신히 돌아섰다. 삼성전자는 오는 19일 고(故) 이병철 삼성 창업회장 37주기를 맞아 '사업보국'(事業報國) 정신을 되새기며 경쟁력 회복에 나선다는 방침이지만 근본적인 회복을 위해서는 리스크해소가 선제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주가하락의 근본적인 원인은 외국 투자자들로 지난달 30일부터 13일까지 2조6925억 원에 달하는 금액을 매도하면서 하락세를 이끌었다. 업계는 도널트 트럼프 전 대통령이 제 47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축소·폐지 가능성이 제기되는 반도체지원책(칩스법)이 하락분위기를 부추겼다고 진단한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공장을 건설중으로 미국 상무부로부터 64억달러 규모의 보조금 지원을 약속받았지만 아직 지원금을 수령하지 못했다. 투자자들은 반도체지원금 폐지로 보조금 지원이 무산되면서 삼성전자가 입게될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위기를 타개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사법리스크로 리더십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도 삼성전자 위기론에 힘을 보태고 있다. 이 회장은 2015년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을 부당하게 진행했다는 혐의로 2020년 재판에 넘겨졌다. 2월 재판부가 무죄를 선고했지만 검찰이 항소에 나서면서 오는 25일 결심공판을 앞두고 있다.
반면, 2월부터 지속되어온 노조리스크는 희망의 빛이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 노사는 14일 2023년·2024년 임금협약에 잠정합의 했다고 발표했다. 아직 잠정합의안에 대한 노조의 찬반투표가 남아있지만 삼성전자와 노조 양측이 한발씩 물러났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잠정합의안이 마련된 만큼 업계는 투표에서 통과되지 못하더라도 7월과 같은 총파업사태가 재발될 가능성은 극히 낮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사장단과 임원 인사, 조직 개편을 순차적으로 단행해 조직정비와 인적쇄신으로 분위기 개선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앞서 전영현 삼성전자 DS부문장(부회장)은 3분기 실적발표 사과문을 통해 “조직문화와 일하는 방식을 다시 살펴보고 고칠 점은 바로 고치겠다”면서 “삼성전자의 전통인 신뢰와 소통의 조직문화를 재건하고 현장에서 문제점을 발견하면 숨기지 않고 치열하게 토론해 개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