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지난달 기준 1.6%로 떨어졌다. 2021년 3월 1.9%를 기록한 이후 3년 반 만에 1%대로 하락한 것이다.
유가 하락으로 석유류의 물가가 전반적으로 낮아진 결과다. 한국은행의 물가 목표는 2%다. CPI는 이미 지난 4월 2.9%에 진입한 이후 8월에 2%로 하락했다.
에너지와 식품을 제외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 물가지수도 2%다. 전달의 2.1% 물가상승률에 비하면 0.1%p 낮아진 수치다.
물론 외식 물가나 공공요금 등 물가 불안 요인은 많다. 1년 전보다 53.6%나 오른 배추를 비롯해 채소 가격 상승률은 10%대다.
밥상 물가로 불리는 신선식품 물가지수는 3.4% 올랐다. 과일(2.9%)보다 채소(11.6%)의 상승폭이 크다는 점도 정책 당국의 고민거리다.
이 밖에 도시가스(6.8%), 수도·전기·가스 물가도 여전히 통제 범위 밖이다. 개인 서비스 물가나 집세 등 주거비도 부담되는 수준이긴 마찬가지다. 특히 중동 분쟁 격화로 유가의 불확실성도 커졌다.
하지만 내수를 살리려면 금리 인하를 미루기 힘든 구조다. 소비의 경우 코로나19 팬데믹 이전 상황을 회복하지 못한 상태다.
가계부채 문제도 심각하다. 특히 소상공인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나 끝이 보이지 않는다. 다중 채무자는 455만 명을 넘어선 지 오래다. 금리를 내려서라도 부담을 줄여야 하는 상황이다.
글로벌 중앙은행들도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미 연준은 시장의 기대에 부응해 0.5%p 내리는 빅컷으로 응수했다.
유럽연합(EU)의 경우 6월과 9월 각각 25bp씩 인하했고, 영국 중앙은행도 8월에 인하를 시작했다. 스웨덴·스위스·캐나다도 지난달 금리를 25bp씩 인하했다.
인도네시아·멕시코·남아공·체코·헝가리·칠레·콜롬비아 등 개발도상국 중앙은행도 환율 방어를 위해 금리 인하에 동참했다.
한국은행이 11일 금리를 인하하면 3년2개월 만의 정책 전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