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日, 7~9월 GDP 연율 1.8% 감소…6분기 만에 첫 하락, 순수출·주택 투자 급감

트럼프 15% 대일 관세로 제조업 위축, 수출 1.2%↓…민간 주택 투자 9.4%↓
민간소비 0.1%↑·기업투자 1.0%↑ 선방…2050년 신축 건물 에너지 절약 기준 의무화
일본의 주택 투자는 올해 정부가 4월부터 모든 신축 건물이 더 엄격한 환경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의무화함에 따라 급격한 변동을 겪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본의 주택 투자는 올해 정부가 4월부터 모든 신축 건물이 더 엄격한 환경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고 의무화함에 따라 급격한 변동을 겪었다. 사진=로이터
일본 경제는 7~9월 인플레이션 조정 실질 기준으로 전분기 대비 0.4% 위축되어 연율 1.8% 감소를 기록했으며, 이는 6분기 만에 처음으로 위축된 것으로 17일(현지시각) 정부 예비 수치에서 나타났다고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최신 실질 국내총생산 수치는 닛케이 산하 싱크탱크인 일본 경제연구센터가 조사한 경제학자들의 연율 1.8% 감소 전망치 중앙값과 일치했다. 수출은 1.2% 감소했고 수입은 0.1% 감소했으며, 그 결과 순수출은 GDP에서 0.2%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감소의 절반을 차지했다.

지난 7월 일본은 트럼프의 대일 관세를 15%로 낮추기로 미국과 합의했다. 관세율은 트럼프가 처음에 일본을 위협했던 것보다 낮았지만,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은 제조업 부문을 위축시켰다.

GDP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민간소비는 0.1% 증가했고 기업투자는 1.0% 증가했다. 반면 민간 주택 투자는 전 분기 대비 9.4% 감소했는데, 주택 부문은 새로운 환경 규제를 앞두고 선행으로 인한 수요 부진으로 인해 큰 하락세를 겪었다.
일본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 중립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올해 4월부터 모든 신축 건물이 에너지 절약 기준을 충족하도록 의무화했다.

이에 따라 건설업자와 주택 구매자들이 규제 시행 전에 건축 및 구매를 서둘러 선행 수요가 발생했고, 규제 시행 후에는 반동으로 수요가 급감하면서 주택 투자가 급락했다.

경제 전문가들은 일본 경제가 일시적 요인들로 인한 침체에서 점진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주택 투자 급감은 환경 규제 적응 과정에서 나타난 일회성 충격으로 평가되며, 향후 분기에는 정상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미국 관세 부담이 지속되고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이 커지는 상황에서 수출 회복 속도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카이치 정부의 적극적 재정 정책과 임금 인상 압력이 민간소비를 지탱할 수 있을지가 향후 경제 회복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