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 8월 말부터 지난달 초까지 최소한 8200만 달러(약 119억3100만 원) 규모의 기업·지방채를 매입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로이터통신이 1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터는 미국 정부윤리국(OGE)이 이날 공개한 금융거래 공개 문서에 제시된 최대 범위 구간을 기준으로 하면 총매입액은 3억3700만 달러(약 490억3350만 원)에 달한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OGE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8월 28일부터 10월 2일까지 175건 이상의 금융거래를 진행했다. ‘정부윤리법’에 따라 공개된 이 자료는 개별 매입액을 특정하지 않고 범위만 제시한다.
총매입액 최대 구간 3억3700만 달러(약 490억3350만 원), 최소 매입액 8200만 달러(약 119억3100만 원) 규모의 자산 대부분은 지방정부·주정부·카운티·학군 등 공공기관이 발행한 채권이었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융 규제 완화 정책의 수혜가 예상되는 업종을 중심으로 기업채도 적극 매입한 것으로 파악됐다. 반도체 기업 브로드컴과 퀄컴, 기술기업 메타플랫폼스, 유통기업 홈디포와 CVS헬스, 월스트리트 주요 은행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등이 포함됐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정부가 최근 지분을 취득한 인텔 채권도 매입했다. 정책적 이해충돌 가능성이 제기되는 가운데 백악관은 “대통령 본인은 포트폴리오 운용에 관여하지 않고 제3의 금융기관이 관리한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기존 사업체를 자녀가 운영하는 신탁에 넘겼다고 밝힌 바 있다. 8월에 제출된 다른 공시에서는 올해 취임 이후 1월 20일부터 1억 달러(약 145억5000만 원) 이상 채권을 추가 매입한 사실도 드러났다. 6월 제출된 연례공시에서는 암호화폐·골프장·라이선스 등에서 6억 달러(약 873억3000만 원) 규모의 소득을 올린 것으로 보고됐고 자산 총액은 최소 16억 달러(약 2조3280억 원)로 계산됐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대통령 재임 중 이 같은 대규모 자산 거래가는 잠재적인 이해충돌 논란을 다시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로이터는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