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日·美 무역협정으로 日銀 금리 인상 재개 가능성 높아져

관세 불확실성 해소
금리 결정 핵심 변수 부상
2023년 4월 7일, 일본 도쿄의 일본은행 건물 앞을 걷고 있는 사람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2023년 4월 7일, 일본 도쿄의 일본은행 건물 앞을 걷고 있는 사람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일본 간 무역협정 체결로 일본은행(BOJ)이 올해 금리를 다시 인상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BOJ 내부 소식통들이 밝혔다고 지난 25일(현지시각)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BOJ 사정에 정통한 4명의 소식통에 따르면, 미국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해소되면서 금리 인상의 주요 장애물이 제거됐다. 한 소식통은 "미국 무역정책에 드리워진 구름이 걷히면서 BOJ는 올해 금리를 인상할 여지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미 무역협상 결과에 대한 불명확성은 BOJ가 지난 5월 성장전망을 하향조정하고 금리인상을 중단하게 한 주요 요인이었다. 하지만 이번 주 무역협정 발표로 이런 우려가 상당히 줄어든 것으로 평가된다.

우치다 신이치 BOJ 부총재는 이번 합의가 일본의 인플레이션 목표 2% 지속 달성 가능성을 높였다고 평가했다. 그는 "BOJ는 상방위험과 하방위험의 균형을 가장 잘 맞추기 위해 통화정책을 조정해야 한다"며 식량가격 상승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도 강조했다.
7월 30-31일 예정된 다음 정책회의에서 BOJ는 미국 관세 영향에 대해 이전보다 낙관적인 견해를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사회는 올해 인플레이션 전망을 상향조정하고 물가전망 위험이 하방으로 치우쳐 있다는 현재 견해를 조정하는 것도 검토할 수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JP모건증권의 후지타 아야코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무역협정은 BOJ가 금리를 인상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다"며 10월 금리인상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시장도 단기 금리인상 가능성을 반영하고 있어 2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24일 거의 4개월 만에 최고치인 0.845%를 기록했다.

BOJ는 지난해까지 10년간 지속된 대규모 부양책을 종료하고 올 1월 단기 정책금리를 0.5%로 인상했다. 근원 인플레이션이 3년 넘게 목표치 2%를 상회하고 있지만, 중앙은행은 취약한 경제에 타격을 줄 우려로 금리인상에 신중한 접근을 취해왔다.

하지만 여전히 우려 요소들이 남아있다. 일본 경제는 생활비 상승이 소비에 부담을 주면서 1분기 위축됐고, 미국이 중국 등 일본의 주요 수출국과는 아직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못한 상황이다. 기우치 다카히데 전 BOJ 이사는 무역협정을 고려하더라도 미국 관세가 연간 GDP 성장률을 0.55%포인트 감소시킬 것으로 추정했다.
핵심은 10월 예정된 BOJ의 '단간' 기업 조사와 지역 지점장 분기별 회의다. 이를 통해 전국 기업들이 관세 타격을 어떻게 견뎌내고 있는지 면밀히 파악할 예정이다. 조사 결과는 10월 29-30일 정책회의 전까지 나올 예정으로, 금리인상 시기 결정의 핵심 변수가 될 전망이다.

BNP 파리바의 고노 류타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전망보고서와 총재 기자회견은 BOJ가 신중하지만 금리인상에 더 가까워지고 있다는 신호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