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EU, 對美 보복관세 또 유예 결정…트럼프 “관세 부과 그저 엄포 아냐”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 사진=로이터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예고에 맞서 예고했던 보복관세 부과를 다음달 초까지 또다시 연기하기로 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는 단순한 엄포가 아니다”며 강경한 입장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

14일(이하 현지시각) BBC와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연 기자회견에서 “미국이 협상 여지를 남긴 공식 서한을 보내왔다”며 “EU는 210억 유로(약 31조2300억 원) 규모의 보복관세 부과를 다음달 초까지 추가로 유예하되 동시에 대응 조치 준비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EU의 보복관세는 미국이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50%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따른 조치로 지난 4월부터 90일간 유예돼 있었으며 이번에 다시 한 달 연장된 것이다. 이외에도 EU는 720억 유로(약 107조1000억 원) 규모의 2차 보복 조치도 준비 중이다.

◇ 트럼프 “협상 없으면 관세 부과…단순한 엄포가 아니다”

EU가 유예 결정을 내리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전날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 “몇몇 국가는 지금 매우 화가 나 있다”면서도 “수백억 달러(약 69조8000억 원)가 미국으로 쏟아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경제고문도 이날 ABC방송에 출연해 “지금까지 다른 나라들이 제안한 무역협정은 트럼프 대통령이 만족할 수준이 아니었다”며 “대통령은 거래가 더 나아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그래서 선을 긋는 의미에서 이런 서한을 보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협상이 진전되지 않으면 관세는 실제로 부과될 것이며 관세 부과는 단순한 엄포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트럼프는 앞서 1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에게 서한을 보내 오는 8월 1일부터 EU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3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 EU “대화 우선…단호한 대응도 준비”


이에 대해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EU는 언제나 협상을 통한 해결을 선호해왔다”며 “남은 시간을 최대한 활용할 것이며 동시에 보복조치도 철저히 준비할 것”이라고 밝혔다.

EU 내부에서는 미국과의 대화 기조를 유지하되 필요시 강경 대응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프리드리히 메르츠 독일 총리는 독일 공영방송 ARD와 인터뷰에서 “30% 관세가 현실화되면 독일 수출산업은 정면 타격을 입게 된다”며 “앞으로 2주 반 동안 프랑스와 유럽연합 집행위와 함께 집중적으로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라르스 클링바일 독일 재무부 장관도 쥐트도이체차이퉁과 인터뷰에서 “공정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유럽의 일자리와 기업을 지키기 위해 단호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EU 집행위에 “지금이야말로 유럽의 이익을 결연히 수호할 때”라며 ‘반강제조치수단’ 등 강력한 대응 수단의 사용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은 “반강제조치수단은 극단적인 상황을 위한 것으로 아직 그 단계에는 이르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반강제조치수단이란 EU가 외부 국가의 경제적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제재 도구로 지난 2021년 EU 집행위가 제안하고 2023년 정식 채택됐다. 중국, 미국, 러시아 등 제3국이 EU나 EU 회원국에 대해 불공정하거나 강압적인 무역·투자 조치를 취했을 경우 EU가 즉각적인 보복 조치를 할 수 있도록 설계된 대응 수단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