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대표하는 테크 기업들인 인텔과 퀄컴, 구글이 인공지능(AI) 산업에서 반(反) 엔비디아 전선을 구축하기 위해 손을 잡았다.
25일(현지시각) 로이터는 인텔과 퀄컴, 구글 3사가 AI 앱 개발을 위해 엔비디아의 쿠다(CUDA) 플랫폼에 대항하는 오픈소스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쿠다는 엔비디아가 개발자들이 자사의 GPU(그래픽 처리장치)를 다목적 연산장치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API)이다. 특히 엔비디아의 최신 GPU가 첨단 AI 개발에 전면적으로 활용되면서 쿠다 역시 첨단 AI 소프트웨어 개발의 핵심 도구로 떠오르고 있다.
약 20년에 걸쳐 독자적인 개발자 생태계를 구축한 쿠다는 현재 전 세계 약 400만 명의 개발자가 AI 및 각종 GPU 컴퓨팅 소프트웨어 개발에 활용하고 있다. 다만, 쿠다는 오직 엔비디아 제품에서만 작동 및 사용할 수 있어 AI 및 GPU 컴퓨팅 분야에서 엔비디아의 독점성을 강화하는 수단 중 하나로 꼽힌다.
인텔과 퀄컴, 구글 3사가 참여해 지난해 9월 설립한 컨소시엄 UXL 재단은 인텔이 지난 2019년 선보인 개방형 플랫폼 ‘원API(OneAPI)’를 바탕으로 쿠다 플랫폼에 대항해 다양한 AI 가속기 칩을 구동할 수 있는 오픈소스 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개발자들은 이를 통해 어떤 회사의 AI 칩이나 하드웨어 상관없이 최신 AI 기술을 지원 및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어 엔비디아 AI 칩 및 쿠다에 대한 의존도를 낮출 수 있다.
UXL 재단은 지난 9월 출범 이후 재단 회원사와 오픈 소스 AI에 관심이 있는 제 3자로부터 기술 기여를 받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인텔의 원API는 이미 사용이 가능하며, 이후에는 AI용으로 설계된 컴퓨팅 시스템의 표준 프로그래밍 모델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
또 UXL은 이미 자체적인 AI 칩을 개발해 자사의 서비스에 도입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Azure)와 아마존웹서비스(AWS) 등 주요 클라우드 플랫폼 기업에도 프로젝트 참여를 요청할 계획이다.
UXL 기술운영위원회는 올해 상반기 내로 오픈소스 AI 프로그래밍 도구의 기술 사양을 확정하고, 올해 말까지 세부 기술 사항을 ‘성숙한’ 단계까지 개선하는 것이 목표다. 장기적으로는 개발자들이 쿠다를 사용하지 않고도 엔비디아 AI 칩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도 목표 중 하나다.
구글의 고성능 컴퓨팅 담당 이사이자 수석 개발자 빌 매그로는 “우리는 머신러닝(기계학습) 분야에서 어떻게 하면 열린 생태계를 만들고 하드웨어 분야에서 생산성과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pch@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