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의 희귀 광물, 즉 희토류 자원의 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아시아 국가들에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19일(이하 현지 시간) 백악관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같은 날 유엔 총회가 열리는 뉴욕에서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타지키스탄·투르크메니스탄·우즈베키스탄 등 5개국 정상과 함께 'C(Central Asia)5+1' 정상회의를 처음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서 미국은 중앙아시아의 방대한 광물 자원을 개발함과 동시에 중요 광물 안보를 증진하기 위해서 'C5+1 중요 광물 대화' 출범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C5+1 회의에서는 6개국 정상이 모여 안보와 무역 및 투자, 그리고 각국의 주권 및 영토 보전 존중과 거버넌스 및 법치 개선 등 매우 다양한 현안에 관한 논의가 있었다.
한편, 미국 국제개발처(USAID) 주최로 오는 10월 중앙아시아에서 C5+1 장관급 회의를 열어 포괄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을 추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백악관은 부연했다.
백악관은 성명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미래 에너지 환경을 뒷받침할 탄력적이고 안정적인 중요 광물을 공급할 수 있는 공급망 구축을 위해서 5개국과의 협력 필요성을 인식한 데 따른 제안”이라고 말했다.
이미 미국은 중국의 희토류 자원 무기화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미 국무부는 지난 18일 경제성장·에너지·환경 분야를 담당하는 호세 페르난데스 차관 주재로 정부 및 민간 관련자들이 중요 광물에 대한 투자 증진 방안을 논의하는 회의를 개최한 바 있다. 해당 회의에서는 광물 추출 및 가공, 재활용 등 다양한 광물 관련 개발 프로젝트와 민간 관심사와 이슈들을 어떻게 처리하고 다룰 것인가, 그리고 환경 기준 충족 프로젝트 투자는 어떻게 촉진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고 알려졌다.
이 회의에 대해 미 국무부는 "청정에너지 전환이나 기타 기술에 필수적인 중요 광물들의 수요는 미래 수십 년간 현재의 4∼6배, 그리고 리튬은 최대 42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며 희토류 등을 안정적이고 꾸준하게 공급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어서 미 국무부는 "이번 회의를 통해서 미 국무부는 중요 광물의 책임 있는 채굴이나 가공 및 재활용과 관련한 도전 과제들을 해결하는 한편, 다양한 기회들을 창출해 나가기 위해서 공공이나 민간 부문에 걸쳐져 있는 파트너들과 협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런 일련의 움직임들은 중국이 중앙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을 키워나가는 것과 동시에 희토류 등의 광물 자원 무기화를 꾀하고 있는 리스크에 대응할 수단으로 풀이되고 있다.
지난 8월 중국은 차세대 반도체에 사용되는 희토류 중 갈륨과 게르마늄에 대한 수출통제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 두 광물은 전 세계 생산의 대부분을 중국이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 측에서 적대적인 국가나 혹은 다양한 면에서 대립하는 국가에 수출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도로 보여 중국이 '희귀 자원 무기화'를 할 것이라는 분석을 낳고 있다.
이로 인해 발등에 불이 떨어진 중국의 대표적 대립 국가인 미국은 중국의 '희귀 광물 무기화' 가능성에 맞서 자급자족은 물론 공급이 가능한 국가와의 협약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또 한편으로는 C5+1 정상회의를 개최해 중국에 대해 강력한 견제를 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되고 있다. 특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한 이후 러시아의 중앙아시아에 대한 영향력이 예전만큼 못한 가운데, 중국이 이런 공백을 틈타 중앙아시아 시장에 영향력을 확대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로 이러한 조치를 취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도 지난 5월 과거 실크로드의 출발점이었던 산시성 시안에서 중앙아 5개국과의 첫 대면 정상회의를 갖고 에너지 안보와 일대일로(一帶一路:중국~중앙아시아~유럽을 연결하는 육상·해상 실크로드) 협력에 대해 공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회의에서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금이 역사적인 순간”이라며 “이번 회의에 참여한 각국은 주권과 독립, 그리고 영토 보전에 대해 공동의 약속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원칙들은 반드시 지켜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