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라인사태' 네이버, 한중일 회담에도 주가 '시큰둥'

정준범 기자

기사입력 : 2024-05-27 16:38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촉발된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14일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라인야후 계열 한국법인 라인플러스 본사에서 직원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촉발된 '라인야후 사태'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14일 경기도 성남에 위치한 라인야후 계열 한국법인 라인플러스 본사에서 직원이 걸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일 정삼회담으로 네이버 라인사태 해결에 대한 기대가 컸지만 주가는 시큰둥한 반응을 나타냈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급등세를 보이며 2720선을 회복한 가운데 네이버는 보합으로 장을 마감해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은 일본 정부의 행정지도로 촉발된 이른바 '라인야후 사태'에 대해 "국내 기업인 네이버에 지분을 매각하라는 요구는 아닌 것으로 이해하며, 한일 외교 관계와 별개의 사안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기시다 총리는 "행정지도는 한국 기업을 포함해 외국 기업들의 일본에 대한 투자를 계속 촉진하겠다는 기존의 입장에 불변이라는 원칙하에서 이해되고 있다"며 "이번 행정지도는 이미 발생한 중대한 보안 유출 사건에 대해 어디까지나 보안 거버넌스를 재검토해 보라는 요구사항"이라고 설명했다고 한다.

네이버는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에 힘입어 주가가 강세를 보였지만 라인야후 사태 이후 상승세에 제동이 걸렸다.

증권업계는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라인야후의 강제 매각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이를 둘러싼 불확실성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지분 매각이 현실화 될 경우 단기 주가 조정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라인야후 사태는 지난해 11월 라인야후 개인정보 52만건이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유출되면서 시작됐다. 이후 일본 총무성은 라인야후에 두 차례에 걸쳐 행정지도를 내리는 한편 자본 관계 재검토를 요청했다.

금융투자업계는 라인야후의 지분 매각 협상이 장기전으로 흘러가게 됐지만, 매각이 현실화 될 경우 지분법 이익 감소에 따른 네이버의 순이익 하향이 불가피하다고 분석했다. 일본 뿐만 아니라 라인을 기반으로 한 동남아 시장으로의 글로벌 사업 확장도 힘을 잃을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다.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라인야후 지분을 64.5% 보유한 A홀딩스 지분을 각각 50%씩 소유하고 있다. 이에 네이버가 보유한 라인야후의 실질적 지분은 약 32%로 추정된다. 지난해 라인야후의 매출액은 16조5800억원, 영업이익은 1조4000억원으로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법 이익은 약 2540억원으로 추정된다. 라인야후의 올해와 내년 지분법 이익은 이보다 증가한 3000억원 수준으로 전망됐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포르쉐 못지 않은 스펙, 또 다른 드림카 마세라티 그레칼레
전기차 고민이라면? 그냥 아이오닉 5 사~! 2024년형 아이오닉 5
혼다 신형 CR-V와 파일럿, 캠핑에 어울리는 차는?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