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25일 본회의서 K-스틸법 우선 처리 목표
산업 재편 유도·위상 재정립·규제 혁신 등 담겨
관세 등으로 어려운 철강업계 정책 지원 절실
산업 재편 유도·위상 재정립·규제 혁신 등 담겨
관세 등으로 어려운 철강업계 정책 지원 절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여야는 25일 열리는 본회의에서 공동 발의한 K-스틸법을 우선 처리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이 법안은 지난달 초 어기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이 함께 발의했으며, 철강산업 구조 재편과 수요 기반 확충, 녹색 철강기술 개발 및 전환 지원, 규제 혁신 등이 핵심 내용으로 담겼다. 특히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위원회’를 설치해 5년 단위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하는 조항도 포함됐다.
철강업계는 이번 법안에 거는 기대가 크다. 당장 업황이 악화 일로에 있기 때문이다. 한국 철강사들은 미국의 50% 고율 관세와 중국발 공급 과잉, 유럽연합(EU) 등 주요국들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이중·삼중의 압박을 받고 있다. 국내 건설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내수시장마저 위축됐다. 여기에 고부가가치 제품 확대와 수소환원제철 같은 차세대 친환경 기술 개발도 시급히 추진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정익수 한국신용평가 수석 애널리스트는 최근 글로벌 무역 질서 재편과 산업별 영향 웹캐스트에서 “미국 관세 인상이 하반기부터 주요 철강사들 실적에 직간접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실제로 3월 미국의 관세 부과 이후 우리나라 대미 철강 수출은 감소세가 뚜렷하다. 한국무역협회 집계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으로의 철강제품 수출액은 2억1900만 달러(약 3058억 원)로 전년 동기 대비 36.7% 줄었다.
업계 관계자는 “관세와 공급 과잉 문제를 개별 기업이 감당하기엔 한계가 뚜렷하다”면서 “국가 차원의 정책 지원이 병행돼야 경쟁력 회복과 고부가가치 전환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