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유럽 '기술이전'-서유럽 '공동개발' 전략
방위체계 생산에 MRO 시장까지 염두에 둬야
가격·계약이행 등 넘어선 경쟁력 키워나갈 때
방위체계 생산에 MRO 시장까지 염두에 둬야
가격·계약이행 등 넘어선 경쟁력 키워나갈 때

14일 글로벌이코노믹이 방산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은 세계 안보 지형 변화에 따라 한국 방산기업들이 글로벌 입지를 강화할 기회를 놓치지 말 것을 주문했다.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시작으로 안보 불안이 고조된 데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나토에서 미군의 역할을 축소하겠다는 점을 시사하자 나토 회원국들이 자체 방어체계 강화에 나섰기 때문이다.
장원준 전북대 방위산업융합과정 교수는 “동·북유럽은 완제품 위주로 수출하면서 기술 이전을 통한 ‘현지화’로 유럽연합 시장에 진출할 교두보를 확대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면서 “방산 강국이 모인 서유럽에서는 나토와의 협력을 통해 무기체계 공동 개발·생산·마케팅 등을 확대함으로써 ‘경쟁국’이 아닌 ‘파트너’의 역할을 강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기일 상지대 군사학과 교수는 “고품질의 방위체계를 생산·납품하는 데서 나아가 가두리 효과를 염두에 두고 후속 군수지원과 유지·정비·보수(MRO) 시장까지 나아가야 한다”면서 “기존의 기술 이전, 생산 이전뿐만 아니라 현지에 플랜트를 수출해 한 단계 더 진화한 방산 협력 방식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각국이 자체 방산 육성에 나선 만큼 한국이 지금의 상황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 가능한 중장기 성장 전략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최 교수는 “한국 방산의 강점으로 꼽히는 가격 경쟁력과 성능, 계약 이행, 납기 준수 같은 강점은 독일 같은 전통적인 제조업 강국에 따라잡힐 수 있는 요인”이라며 “한국 방산기업들에 주어진 호조는 중장기적으로 서유럽 제조 강국들에게 위협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유럽 시장뿐만 아니라 세계 최대 방산 국가인 미국과 파트너십을 강화하는 데 속도를 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장 교수는 “미국이 원하는 함정 MRO와 조선·함정 건조 협력으로 동맹을 적극 지원하고, 이를 지렛대로 삼아 한·미 간 국방상호조달협정(RDPA) 체결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