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삼성전자, 업계 최초 망원용 2억화소 이미지센서 '아이소셀 HP9' 공개

듀얼 픽셀 '아이소셀 GNJ'·'아이소셀 JN5'도 공개

장용석 기자

기사입력 : 2024-06-27 12:08

삼성전자가 공개한 (왼쪽부터) 아이소셀 JN5, 아이소셀 HP9, 아이소셀 GNJ 이미지센서.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전자가 공개한 (왼쪽부터) 아이소셀 JN5, 아이소셀 HP9, 아이소셀 GNJ 이미지센서. 사진=삼성전자
삼성전자는 플래그십 이미지센서 3종을 공개한다고 27일 밝혔다.

'아이소셀 HP9'은 0.56㎛(마이크로미터) 크기의 픽셀 2억개를 1/1.4′(1.4분의 1인치) 옵티컬 포맷에 구현한 망원용 이미지센서 제품이다. 신규 소재를 적용해 독자 개발한 고굴절 마이크로 렌즈를 활용해 빛을 모으는 능력을 향상시켜 각 컬러 필터에 해당하는 빛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작 대비 약 12% 개선된 감광 능력(SNR 10)과 약 10% 향상된 '자동초점 분리비' 성능으로 더욱 선명한 색감 표현이 가능하다. 특히 저조도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망원 카메라의 감도를 개선했다.

인접 픽셀 16개(4x4)를 묶은 '테트라 스퀘어드 픽셀' 기술을 적용해 12Mp(메가픽셀) 빅픽셀(2.24㎛) 인물 모드에서 저조도 감도 향상 뿐만 아니라 드라마틱한 아웃포커싱 효과인 보케를 경험할 수 있다. 리모자이크 알고리즘 기반 2배나 4배 센서 자체 줌 모드도 지원해 3배 망원 모듈에 탑재시 최대 12배 줌까지 선명한 화질 구현이 가능하다.

듀얼픽셀 제품인 '아이소셀 GNJ'는 1/1.57′(1.57분의 1인치) 크기의 옵티컬 포맷에 1.0㎛ 픽셀 5000만개를 구현한 제품이다. '듀얼 픽셀'은 모든 픽셀이 두 개의 포토다이오드를 탑재해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색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한다. 화질 손상 없이 빠르고 정확한 자동 초점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아이소셀 GNJ는 센서 자체 줌 모드 동작시 비디오 모드에서 한층 선명한 화질 촬영과 함께 이미지 캡쳐 모드에서도 잔상과 모아레 현상이 없는 선명한 해상력을 제공한다. 또 프리뷰 모드에서 전작 대비 약 29%, 비디오 모드에서 4K 60fps 기준 약 34%의 소비 전력이 개선됐다.
'고굴절 마이크로 렌즈'와 함께 삼성전자가 신규 개발한 '고투과 ARL' 소재가 적용된 것도 특징이다. 이에 따라 어두운 부분에도 선명한 화질을 제공할 수 있다. 픽셀과 픽셀 사이 격벽 DTI 물질을 폴리 실리콘에서 산화물로 변경한 점도 선명한 이미지 구현에 큰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가 공개한 아이소셀 JN5 이미지센서 모습.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전자가 공개한 아이소셀 JN5 이미지센서 모습. 사진=삼성전자


마지막으로 '아이소셀 JN5'는 1/2.76′(2.76분의 1인치) 크기의 옵티컬 포맷에 0.64㎛ 픽셀 5000만개를 구현한 제품이다. '듀얼 VTG' 기술을 도입해 픽셀에 들어온 빛이 변환된 전하의 전송 능력을 높이고 극 저조도에서의 노이즈 특성을 대폭 개선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한층 선명한 화질을 선사한다.

또 좌·우, 상·하의 위상차를 모두 이용하는 위상차 자동 초점 기술인 '슈퍼 QPD'기술을 적용해 빠르게 움직이는 피사체의 작은 디테일까지도 흔들림 없이 포착할 수 있다. HDR 기능을 강화한 '듀얼 슬로프 게인' 기술도 적용됐다. 이 기술은 픽셀에 들어온 빛의 아날로그 정보를 서로 다른 2개의 신호로 증폭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하나의 데이터로 합성하는 기술로 센서가 표현할 수 있는 색의 범위를 넓혀 준다.

이 밖에 하드웨어 리모자이크 알고리즘을 적용해 카메라 촬영 속도가 향상됐고 프리뷰와 캡쳐 모드에서 실시간 줌 동작이 가능하다. 1/2.76′의 얇은 옵티컬 포맷으로 범용성이 매우 높아 광각과 초광각 카메라는 물론 전면과 망원 카메라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제석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Sensor사업팀 부사장은 "전통적인 이미지센서의 성능을 고도화하는 것은 물론, 메인과 서브 카메라의 격차를 줄여 모든 화각에서 일관된 촬영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 업계의 새로운 방향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삼성전자는 최신 기술이 집약된 새로운 모바일 이미지센서 라인업을 통해 업계 표준을 리드하고 센서 혁신 기술 개발을 지속해 한계를 돌파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
BMW X1 차주, 볼보 순수전기차 C40을 타다. "다시 봤다! 볼보 너란 애!!"
국산 플래그십 '제네시스 G90'...여사님께도 잘 어울리는 플래그십 모델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포르쉐 못지 않은 스펙, 또 다른 드림카 마세라티 그레칼레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