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AI 열풍에 HBM 쏠림…D램 메모리 '품귀 현상' 우려

노정용 기자

기사입력 : 2024-06-28 15:40

AI 시대의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폭증으로 인해 D램 메모리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이미지 확대보기
AI 시대의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폭증으로 인해 D램 메모리 품귀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인공지능(AI) 시대의 핵심 부품인 고대역폭 메모리(HBM) 수요 폭증으로 인해 D램 메모리 시장에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WCCF테크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최근 AI 열풍으로 HBM 수요가 급증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주요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들은 HBM 생산 확대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D램 생산은 줄어들면서 D램 공급 부족 현상이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올해 3분기부터 D램 수요가 공급을 추월하기 시작해 4분기에는 공급 부족 폭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PC, 모바일 등 D램 수요가 많은 분야에서 공급 부족 현상이 두드러질 것으로 보인다.
D램 부족 현상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미 일부 D램 제품 가격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앞으로 가격 상승 폭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D램 품귀 현상은 HBM과 D램의 첨예한 '수익성 줄다리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HBM은 D램보다 수익성이 높지만, 기술 난이도가 높고 생산량이 제한적이다. 반면 D램은 수익성은 낮지만, 안정적인 수요를 바탕으로 꾸준한 매출을 올릴 수 있다.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들은 단기적인 수익성을 위해 HBM 생산에 집중하고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D램 공급 부족으로 인한 시장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D램은 AI 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메모리 반도체"라며 "D램 공급 부족 현상이 장기화될 경우 AI 산업 발전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들은 HBM 생산 확대와 함께 D램 공급 안정화에도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노정용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noja@g-enews.com
BMW X1 차주, 볼보 순수전기차 C40을 타다. "다시 봤다! 볼보 너란 애!!"
국산 플래그십 '제네시스 G90'...여사님께도 잘 어울리는 플래그십 모델
요즘 우리도 뜬다~!!! 캠핑, 화물차 다재다능 '밴'들이 가라사대
아메리칸 머슬카 '포드 머스탱', 상남자들 저격
GT의 느낌이 물씬, 페라리 로마 스파이더
원조 전기차 맛집 테슬라 모델 3, 페이스리프트 정말 살만한가?
비 오는 날 즐기는 오픈카의 낭만, 미니 쿠퍼 S 컨버터블
포르쉐 못지 않은 스펙, 또 다른 드림카 마세라티 그레칼레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