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中·日 대립, 외교전으로 번지나...내년 韓·中·日 정상회의 불투명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비공식 약식 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이재명 대통령이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가 열린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나스렉 엑스포센터에서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비공식 약식 회담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의 “대만 사태 발생 시 일본의 개입” 발언으로 중국과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양국의 갈등이 국제무대로 번지고 있다.
교도통신, 마이니치신문 등 일본 외신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3일 양일간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지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중국 리창 총리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시릴 라마포사 대통령이 회담한 이후 중국 외교부는 “남아공이 대만 문제에 대해 중국의 입장을 지지했다”고 발표했다.

이어서 중국 외교부는 라마포사 대통령이 “대만은 중국 영토의 불가분의 일부”이며 “중국과 남아공의 핵심적 이익을 지지한다”고 밝혔다는 내용도 전했다.

이에 대해 마이니치신문은 중국이 말한 핵심 이익에 대해 “영토나 주권 등 양보할 수 없는 중요 문제를 지칭하며, 그 대표가 대만 문제로 여겨진다”라며 “시진핑 지도부는 일본의 고립화를 노리는 국제 여론 형성에도 움직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당초 일본은 G20 정상회의에서 다카이치 총리와 리 총리의 회담을 성사시켜 악화된 양국 관계를 완화한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중국이 회담을 거부하면서 양국 관계는 더욱 얼어붙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다카이치 총리가 G20 현장에서 이탈리아의 조르지아 멜로니 총리와 만나 두 팔을 벌려 환영하는 모습을 보이는 한편 유럽연합(EU)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집행위원장과도 웃으며 악수하는 모습이 포착되고 한국 이재명 대통령과도 밝게 인사를 나눴지만 중국 리창 총리와는 눈길조차 주지 않으면서 양국 갈등이 국제 무대로 번지는 분위기다.

아사히에 따르면 다카이치 총리는 다음 날 이후 일정 준비를 위한다는 이유로 회의 종료 후 만찬에도 참석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뿐만 아니라 중국 리 총리 또한 다른 국가 정상들과는 가볍게 담소를 나누면서도 다카이치 총리는 철저히 외면하는 모습을 보였다.
중앙아시아를 순방 중인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 장관도 23일 “중국은 일본의 우익 세력이 역사를 역행시키고, 외부 세력이 중국 대만 지역에 손을 대는 것, 그리고 일본의 군국주의가 재연되는 것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다카이치 총리가) 해서는 안 될 말을 했고, 건드려서는 안 될 레드라인을 넘었다”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중국은 중앙아시아 3개국이 “대만 독립 반대”와 “중국의 통일 실현을 위한 모든 노력”을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했다고도 발표했다.

중국의 푸솽 유엔 주재 대사는 21일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에게 “일본 지도자가 공식 자리에서 전후 처음으로 대만 유사시와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연결해 중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했다”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다.

여기에 더해 중국 국영방송 CGTN(중국글로벌TV)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은 다카이치 총리가 판도라의 상자를 여는 모습을 그린 만화 일러스트를 게재했다. 상자에서 나오는 연기에 '군국주의’, ‘전쟁’, '혼란'이 나오는 모습이다.
다른 잡음들도 계속 들리고 있다. '대중정책에 관한 열국의회연맹(IPAC)'은 20일 다카시마 총리의 대만 유사 사태 개입 발언에 대해 “대만 해협 긴장에 따른 위험에 경종을 울린 것으로 매우 정당하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IPAC은 세계 40여 개국 의원으로 구성된 반중 성향 연합 조직이다.

이런 외교 무대에서 벌어지는 일본과 중국의 외교전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24일 마카오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중-일 문화장관 회의도 연기되는 등 3개국 관계도 삐꺽대는 분위기로 이어지고 있다. 이와 함께 일본이 내년 1월 자국에서 개최하려 했던 한중일 정상회의도 중국 측의 거부로 개최가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일본은 내년 2월 이후로 시기를 늦춰 개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중국의 춘절 연휴도 있어 일정 조정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