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日, 대만 유사시 대비 인근 남서부 섬에 '2주치 보급품' 벙커 건설 추진

미야코지마·요나구니 섬 지하 대피소 계획… 국방장관, 남서부 군도 방문해 방어 강화 논의
중국의 반발 속 대만 안보 위기 대비 박차… 한국의 지하 대피소 사례도 주목
사진=구글 제미나이를 통한 이미지 생성이미지 확대보기
사진=구글 제미나이를 통한 이미지 생성
일본이 대만 안보 위기에 대비해 정부의 준비 태세 강화 일환으로, 남서부 외딴 섬들에 거주하는 주민들에게 약 2주간 피난처를 제공할 수 있는 지하 대피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23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고이즈미 신지로(Shinjiro Koizumi) 방위대신은 최근 사키시마 제도에 속한 미야코(Miyako)와 이시가키(Ishigaki) 섬을 방문하여 지역 시장들과 방어 강화 방안을 논의하며 이러한 계획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미야코와 이시가키 섬이 속한 사키시마 제도는 일본이 대만과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미야코지마 시에서는 최대 500명이 수용할 수 있는 지하 주차장을 대피소로 활용할 계획이며, 이 프로젝트는 시 스포츠 센터 재건을 포함하여 2027 회계연도 이후에 완료될 예정이다.

또한, 대만에서 약 110킬로미터 떨어진 요나구니 시청 아래에 약 200명을 수용할 벙커를 건설할 계획도 포함되어 있다.
이번 달, 다카이치 사나에(Sanae Takaichi) 총리는 국회에서 대만에 대한 무력 사용이 일본이 방위군을 배치해야 하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으며, 이 발언은 중국의 반발을 불러일으킨 바 있다.

일본의 외딴 섬 보호 기본 입장은 공격 조짐이 보이면 주민들을 민간 항공기와 선박을 통해 규슈(Kyushu) 등 더 큰 섬과 다른 지역으로 대피시키는 것이다. 지난주 미야코지마와 다른 지방자치단체는 미야코 공항에서 대피 훈련을 실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기상 조건과 인력 제약은 실제 비상 상황에서 이러한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 수 있다. 미야코지마 시장 노보루 카카즈(Noboru Kakazu)는 고이즈미 방위대신에게 특수한 도움이 필요한 주민들을 지원할 인력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에 따라 지하 대피소는 제때 탈출하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안전한 피난처가 될 수 있다. 일본의 2022년 국가안보전략은 남서부 및 전국 다른 지역 주민들을 위한 대피 시설 확보를 요구하고 있다.
일본은 또한 미사일이나 기타 화력의 근원을 타격할 수 있는 스탠드오프 미사일을 배치해 공격을 억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해 4월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58,000개 이상의 임시 대피 장소가 지정되었지만, 이 중 지하에 있는 장소는 4,000개도 채 되지 않아 인구의 5% 미만만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비해 북한 미사일 위협 아래 살아가는 한국은 전국에 17,000개 이상의 지하 대피소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각 인구가 약 0.8제곱미터 면적을 배정한다고 가정할 때 인구의 세 배 이상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고 일본 정부 자료에 따르면 한다.

서울에는 약 3,000개의 이런 지점이 있으며, 대피 장소로 지정된 지하철역은 빨간 표지판으로 표시되어 있고 일부 역에는 생수, LED 조명, 라디오 등 긴급 물품이 비치되어 일정 시간 동안 머물 수 있도록 준비되어 있다.
일본은 한국의 이러한 사례를 참고하여 대만 안보 위협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