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미국 정부가 전력 수요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최대 10기의 대형 원자로를 구매·보유하는 계획을 추진 중이며, 그 비용은 일본이 관세 협상 과정에서 표명한 5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금으로 충당될 가능성이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19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미 에너지부 당국자 칼 코(Karl Koe)가 이례적 프레임워크의 세부 사항을 설명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일본이 대미 투자한 5500억 달러 중 최대 800억 달러가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Westinghouse Electric)의 신형 원자로 건설에 투입될 전망이다.
코는 테네시주의 첨단 에너지 산업 협의회가 주최한 회의에서 “정부가 민간 시장에 개입하는 것은 본래 극히 신중해야 하며, 일반적으로 행하지 않는다”고 전제한 뒤 “그러나 지금은 국가적 비상사태”라고 말했다.
또한 많은 세부 사항이 결정되지 않았다고 하면서도 원자로 건설 실현에 자신감을 보이며 “어디에 건설할지 검토 중인 단계”라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인공지능(AI) 지원 데이터센터와 자국 내 제조업 부흥에 필요한 전력 부족에 대한 고민으로 설비 투자를 고민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기 취임 첫날 국가 에너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파이프라인 건설 및 송전망 확충에 더해 경영난에 처한 석탄 화력발전소 구제를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미국이 마지막으로 대형 원전을 건설해 가동시킨 것은 10여년 전 보글 원전 건설 프로젝트로, 당시에도 기준 예산 160억 달러를 초과하는 한편 계획보다 7년 늦게 완공되면서 미국 내에서 원전 건설은 높은 비용이 들어간다는 이유로 기피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나 AI 붐으로 대형 원전 건설이 다시 주목받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설명이다. 엑셀 에너지 밥 플렌젤 최고경영자(CEO)도 원전 대형 건설 프로젝트가 다시 주목받을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보기도 했다.
다만 미일 무역협정에 포함된 일본의 자금 공약이 실제로 실행에 옮겨질지가 관건이 될 전망이다. 백악관에 따르면, 일본은 총액 약 3320억 달러를 미국 내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에 투자할 계획이며, 여기에는 웨스팅하우스의 신형 원자로 ‘AP1000’ 외에도 차세대 소형 모듈형 원자로, 신설 화력발전소, 송전망·파이프라인 사업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의 에너지 정책에는 원전 건설을 추진하는 대통령령과 폐쇄된 원전의 재가동을 위한 정부 자금 지원안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올해 5월 서명된 대통령령은 2030년까지 10기의 대형 원자로 착공하겠다는 계획이 수립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