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中, 2030년까지 연간 자동차 수출 1000만 대 전망

전체 판매 4000만 대 목표, 저개발 지역 '엄청난 성장 잠재력' 보유
전기차 확산과 남반구 시장 개척으로 글로벌 자동차 패권 공고화 추진
중국의 수출 자동차들이 산둥성 옌타이 항구의 터미널에 대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의 수출 자동차들이 산둥성 옌타이 항구의 터미널에 대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의 자동차 산업이 향후 5년 동안 해외 시장에 1000만 대를 포함해 연간 4000만 대 이상의 차량을 판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업계 관계자가 전망했다고 24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중국승용차협회 사무총장 추이 둥슈는 이미 세계 최대 수량 수출국인 중국 자동차 산업이 2030년까지 해외 판매를 거의 두 배로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추이는 자신의 추정치가 일반적인 컨센서스보다 더 낙관적일 수 있음을 인정했지만, 국내와 글로벌 시장 모두에서 여전히 성장 여지가 많아 중국이 이를 달성할 능력이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서부 지역과 농촌 지역 같은 중국의 저개발 지역에는 여전히 시장 확장 가능성이 엄청나며, 자동차 소유 수준이 베이징과 상하이 같은 대도시 수준을 점차 능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중국의 차량 소유율은 인구 1000명당 250대로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고 추이는 지적했다.

국제자동차제조기구 데이터에 따르면 유럽은 2020년 기준 인구 1000명당 641대, 미국은 860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중국 내수 시장이 여전히 상당한 성장 여지를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추이에 따르면 남반구는 "필연적으로" 중국 자동차의 주요 성장 시장이 될 것이며, 더 많은 구매자가 미국, 유럽, 일본, 한국의 값비싼 중고차보다 비용 효율적인 중국 브랜드를 선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기차 확산도 전체 수요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추이는 전기차의 수명이 약 18년으로 휘발유 자동차의 약 10년에 비해 길지만, 전기차 채택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전반적인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최근 몇 년간 세계 최대의 자동차 제조업체, 판매국,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중국의 전기차 조기 채택은 국내 브랜드가 글로벌 산업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데 도움이 됐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총 자동차 판매량은 기록적인 3140만 대에 달했으며, 전기차가 전체의 40% 이상을 차지했다. 그해 중국은 496만 대의 승용차를 수출했다.

긴 공급망과 칩에서 첨단 소재까지 전략적으로 중요한 여러 산업 전반에 걸친 업그레이드 잠재력을 갖춘 중국 정부는 국내 자동차 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일련의 정책을 발표했다. 가장 최근 정책은 9월 초에 발표됐다.
이 실행 계획은 과도한 치열한 경쟁을 단속하고 자율주행차 시범 프로그램을 추진함으로써 2026년까지 업계의 꾸준한 성장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산업정보기술부가 주도하는 계획은 자동차 부문, 특히 칩, 운영 체제, 전고체 배터리 같은 핵심 분야에서 기술 혁신을 가속화할 것을 요구했다.

실제 성과도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CPCA에 따르면 중국의 승용차 판매량은 2025년 첫 8개월 동안 전년 동기 대비 9.5% 증가한 1474만 대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중국의 자동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7% 증가한 429만 대에 달했다고 CAAM 데이터가 밝혔다.

중국 자동차 산업의 이러한 성장 전망은 글로벌 자동차 시장 판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전기차 분야에서의 기술적 우위와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중국이 글로벌 자동차 패권을 더욱 공고히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다만 이러한 성장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국제 무역 환경 변화와 각국의 자동차 산업 보호 정책 등 다양한 외부 변수들을 극복해야 할 과제가 남아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