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수입 의약품에 최대 200% 관세" 경고...제약사 제조시설 美 이전 촉구

"1년 내지 1년 반 정도 유예 기간 줄 것"...실제 시행 여부 불확실 관측 나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열린 각료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에 달하는 고율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각) 각료 회의에서 “관세가 매우 높은 수준이 될 것이다. 200% 정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다만 이러한 조치가 즉각 시행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제약사들에게 1년에서 1년 반 정도의 유예 기간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제약사)이 제 역할을 할 시간을 줄 것”이라며 유예 기간 내에 의약품 제조 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라는 뜻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은 회의 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의약품과 반도체 관련 관세 조사 결과가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라며 “대통령이 그에 따라 정책을 결정할 것이고, 구체적인 내용은 그때 공개될 것”이라고 말했다.
CNBC는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의 관세 부과를 경고했지만, 그간 수차례 고율 관세 부과를 위협했다가 입장을 바꾼 전례로 미뤄 실제 시행 여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고 분석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이후에도 제약주 주가는 큰 변동 없이 마감됐다.

리링크 파트너스의 애널리스트 데이비드 라이징어는 이날 발표한 보고서에서 “관세가 즉시 시행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 업계엔 긍정적인 소식”이라며 “향후 실제 관세 도입 여부 역시 불확실하다”고 평가했다.

이번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4월 의약품에 대한 일명 ‘섹션 232’ 조사를 지시한 이후, 의약품 관세와 관련한 가장 강경한 발언으로 꼽힌다. '섹션 232'는 수입품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상무부가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이다.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제약업계의 오랜 우려였던 악재가 현실화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다수 제약사는 관세가 비용 상승과 미국 내 투자 위축, 공급망 혼란을 유발해 환자 치료에 차질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해 왔다.

이미 업계는 트럼프의 약품 가격 인하 정책 여파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는 수익성뿐 아니라 연구개발(R&D) 투자 여력에도 타격을 준다고 보고 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가 제약사들의 미국 내 생산 유인을 높일 것이라고 주장해 왔다. 일라이 릴리, 존슨앤드존슨, 애브비(AbbVie) 등 일부 기업은 지난 수십 년간 축소돼 온 미국 내 생산 라인에 이미 다시 투자하기 시작한 상태다.

미국 최대 제약업 로비 단체인 미국 제약산업협회(PhRMA)는 트럼프 행정부의 의약품 관세 부과 추진에 대해 기존 입장을 거듭 밝히며 반발했다.
PhRMA의 대외협력 수석부사장 알렉스 슈라이버는 성명을 통해 “관세에 지출되는 1달러는 미국 내 제조업 확대나 향후 치료제 및 치료법 개발에 투자할 수 없는 1달러”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제약업계는 미국 제조업 부흥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에 공감하고 있으며, 최근 수천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발표한 바 있다”면서도 “의약품에 대한 관세 부과는 이러한 노력에 역행하는 조치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슈라이버는 또 “의약품은 역사적으로 관세 대상에서 제외돼 왔으며, 이는 관세가 비용 상승을 초래하고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