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김영훈 노동장관 후보자 “임금체불 TF 발족…회수율 높일 것”

“대유위니아 체불, 첫 사례로 대응”…범정부 차원 근절 방침
“노동부가 고용위기지역 선제 지정”…지방청 요청 방식 검토
“일터기본법 제정 추진”…이주노동자·플랫폼노동 보호 강조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임금체불 문제와 관련해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종합 대책을 발표할 것"이라고 밝히며 강력 대응 방침을 내놨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임금 체불 양형 기준이 너무 약하다'는더불어민주당 박홍배 의원의 언급에 "양형 기준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임금체불은 지난해 기준 누적 2조 448억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올해는 5월까지 누적 체불액이 9482억원으로 대지급금 또한 2900억원을 넘겼으나 회수율은 30% 수준이다.

김 후보자는 '국세 체납 처분 절차 등을 도입해 변제금 미납에 엄정하게 대응하고 회수율 제고를 위한 범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것이 맞냐'는 박 의원의 질의에 "그렇다"고 답했다.
그는 또 최근 파산으로 1200억원가량의 임금체불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진 대유위니아그룹의 노동자들과 관련해 "범정부 차원에서 임금체불 근절을 위한 TF를 곧바로 발족해 종합적인 대책을 발표하고, 그 첫 사례로 위니아전자를 들겠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또 고용사정이 현저히 악화했거나 급격한 고용감소를 겪는 지역을 지정해 지원하는 고용위기지역과 관련해 "노동부가 선제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고용위기지역은 현재 고용위기 발생 시 지자체가 요청하면 노동부가 정량·정성평가를 통해 지정하는 것으로 돼 있으나, 정량평가 통과가 쉽지 않다"면서 "노동부 자체적으로 새로운 제도를 마련해 지자체가 아닌 지방고용노동청이 노동부 장관에게 선제 대응을 요청하면 필요성을 검토해 지원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김 후보자는 근로기준법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노무제공자 및 이주노동자 등 열악한 처우에 놓인 노동자들에 대해 다양한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근로기준법과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과 관련해서는 "고(故) 오요안나씨가 근로자성을 인정받지 못해 사실관계를 다뤄보지도 못했는데, 그런 억울한 일들이 없도록 가칭 일터기본법 등 이들을 광범위하게 포괄하는 기본법을 제정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고용 형태가 다양화하고 있으니 기존 전속성(한 사업장에 속함)을 기준으로 운용됐던 사회보험제도의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며 "장관이 된다면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와 협의해 (개편하는) 방향으로 검토해보겠다"고 언급했다.

이주노동자와 관련해선 "이주노동자 문제를 단순한 노동력 제공으로 보지 않고 함께 일하는 이웃이라는 관점에서 그들의 노동권을 보호하고 고용허가제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 살펴볼 것"이라고 말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