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국내기업 곳간에 현금 595조원 묵혔다…"투자 확대 절실"

손현지 기자

기사입력 : 2018-10-17 14:26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사진=뉴시스
[글로벌이코노믹 손현지 기자]
국내 기업이 투자에 활용하지 않은 현금성 자산이 지난 7년 사이 2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경제 성장 동력이 다소 꺾였다는 지적이다.

17일 더불어민주당 김두관 의원이 한국은행에서 확보한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기업의 '현금화 자산'은 지난 2016년 594조778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 2009년 337억9970억원에 비해 256조7810억원(76.0%)가량 증가한 수치다.

김 의원이 산정한 현금화 자산은 현금, 만기 3개월 내 현금성 자산, 만기 1년 내 금융상품이나 대여금 등의 단기투자자산 등에 해당한다. 이들은 당기순이익으로 확보한 자금이지만, 재투자가 아닌 기업 안에 남아있는 자산이라는 의미다.

박근혜 정부 출범해인 2013년에 기업들의 현금화 자산 보유현황을 보면 68조 9710억원의 순이익을 냈고 이중 64.7%인 44조 6180억원을 현금화 자산등으로 보유했다. 지난 2015년에는 순이익 119조 6760억원의 63%인 75조4290억원을 현금화자산으로 쌓아뒀다.

박근혜 정부에서 기업들의 순이익 대비 현금화 보유율은 이명박 정부에 비해서 급등해 박근혜 정부 4년간 기업들은 총 순이익 412조 6240억원의 41.6%인 171조 6660억원을 쌓아뒀다.

특히 기업들이 시설투자나 임금인상을 하지 않는다는 국민들의 비판에 정부에서는 기업의 배당, 투자, 임금 증가를 유도하기 위해 기업환류세제를 도입했음에도 기업들의 현금화 자산은 더욱더 높아진 상황이다.

김 의원은 "고용상황이 엄중한 상황에서 정부에서는 고용환경개선과 일자리 창출 등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만큼 기업에서도 현금화 자산을 시설투자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기업소득환류세제가 임금상승이나 시설투자로 이어지지 않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투자·상생협력촉진세제가 도입됐다"면서 "기업들이 투자와 임금인상, 협력업체와의 상생협력을 할 수 있도록 기획재정부가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손현지 기자 hyunji@g-enews.com
아우디 e-tron GT vs. 아이오닉 5 N 비교할 수 있을까?
이번엔 더 무서운 차 끌고 나왔다! 벤츠 E 300 4MATIC AMG Line
국내 1, 2위 다투는 수입차, 벤츠 E와 BMW 5 전격 비교
숨은 진주 같은 차, 링컨 노틸러스 ... "여긴 자동차 극장인가?"
가장 현실적인 드림카, 벤츠 디 올-뉴 CLE 450 4MATIC
파격 변신한 8세대 BMW 5시리즈...520i M sport package, "엔트리 같지 않다"
모든 걸 다 가진 차 왜건..."볼보 V90 CC, 너 하나로 만족한다"
만년 B급 감성 푸조, 408로 확 달라졌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