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한화, 필리핀에 대함 탄도미사일 판매 추진...中 제재 속 美 동맹 강화

CTM-ASBM 2028년 완공 예정, 사거리 160km...남중국해 해양 방어 강화
中, 한화 조선 자회사 제재...MASGA 프로젝트 통해 韓·美 협력 심화 전망
탄도미사일 포드 2개를 실은 천무 발사대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다. 사진=군사 전문가 메이슨의 엑스 캡쳐이미지 확대보기
탄도미사일 포드 2개를 실은 천무 발사대에서 미사일이 발사되고 있다. 사진=군사 전문가 메이슨의 엑스 캡쳐
중국의 제재를 받은 한화그룹이 사거리 160km인 지대함 탄도미사일(ASBM)을 필리핀에 판매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필리핀은 남중국해에서 분쟁을 겪고 있는 중국의 해군력 증강에 대응해 대함 전력을 강화하고 있다.
홍콩에서 발행되는 영자신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15일(현지시각) 중국 당국의 제재를 받은 한화그룹이 필리핀에 곧 나올 ASBM을 필리핀에 판매할 것으로 알려졌다고 보도했다.

필리핀은 최근 분쟁 중인 남중국해에서 주로 중국을 상대로 장거리 정밀 타격 능력의 현대화를 강화하고 있다. 2022년 인도의 브라모스 초음속 순항 미사일 시스템을 3개 포대에 대해 3억 7500만 달러 규모로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파리 기반 네이버뉴스 웹사이트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한화는 "대함 능력을 원하는 고객의 증가하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곧 출시될 CTM ASBM을 필리핀에 판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CTM-ASBM은 한화의 K239 '천무' 이동식 다연장 로켓 발사기 시스템과 짝을 이룰 예정이다. 중거리 전술 미사일 CTM-MR의 280mm 대함 탄도미사일 변형으로, 2028년까지 완공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화에 따르면 CTM-ASBM은 천무는 160km 사거리까지 타격할 수 있으며, 해상에서 선박을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는 통합 시커를 탑재할 예정이다.

한국 조선소 한화오션의 미국 지사는 중국 제재의 타격을 받은 기업 중 하나이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한국 조선소 한화오션의 미국 지사는 중국 제재의 타격을 받은 기업 중 하나이다. 사진=로이터


한화오션은 14일 중국의 제재를 받았다. 중국 상무부는 한화의 미국 자회사가 중국 해양, 물류, 조선 부문에 대한 미국 정부의 조사와 조치를 "지원하고 지원"했다고 비난했다.
제재 대상에는 한화해운, 한화필라델피아 조선소, 한화오션 USA 인터내셔널, 한화해운홀딩스, HS USA홀딩스가 포함된다.

워싱턴 허드슨연구소의 리셀로트 오드가르드 선임연구원은 한화의 제안이 "중국의 해양 확장에 반대하는 지역 동맹국을 지원하려는 한국의 의지"를 시사한다고 말했다.

오드가르드는 "한화의 미사일은 장거리 정밀 무기를 획득하고 해안 방어를 강화하며 중국의 해양 침략에 대한 억지력을 제공하려는 필리핀의 계획에 부합한다"고 말했다.

한국 군사연구원의 윤석준 선임연구원은 중국의 한화에 대한 제재로 인해 미국이 한화에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윤 연구원은 "한화는 MASGA 프로젝트를 위한 협력부터 필라델피아 조선소 운영에 이르기까지 본격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말했다.

MASGA는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를 뜻어하는 영어 머릿말로 한미 협력을 통해 미국 조선산업을 활성화하려는 1500억 달러 규모의 이니셔티브다.

싱가포르 S. 라자라트남 국제학대학원의 콜린 코 선임연구원은 "CTM-ASBM이 브라모스를 강화하고 더 강력한 킬 체인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코 선임연구원은 "새로운 능력으로 중국 군사 계획가들이 함대 대공과 미사일 방어에 대한 새로운 복잡성을 고려하도록 강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한화의 필리핀 대함 미사일 판매 추진이 한국의 인도-태평양 지역 방위 역할 강화와 한미 동맹 심화를 반영한다고 평가한다. 중국의 제재에도 미국과의 협력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분석가들은 한국 조선 부문에 대한 중국의 제재와 일치하는 이번 조치 시기가 한국이 워싱턴의 인도-태평양 정책에 점점 더 동조하고 있으며 미국 동맹국과의 지역 국방 협력에서 위상이 높아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