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속보] 트럼프, 제약 광고 규제 강화·고율 관세 동시 압박…미국·글로벌 제약업계 흔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약업계를 겨냥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26일(이하 현지시각) 야후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저녁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다음달 1일부터 수입 주방가구, 중장비와 함께 해외에서 생산된 의약품에 최대 10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미국 내 제조업 회귀를 유도하려는 ‘관세 압박 전략’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포스팅에서 “미국에 제약 공장을 짓고 있지 않은 기업의 특허·브랜드 의약품에는 100% 관세를 매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그는 동시에 “미국 내 생산시설을 건설 중인 경우 예외를 둘 수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이 같은 관세 부과는 당장 소비자 약가 부담 증가와 중소 약국·병원 조달 비용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제약 광고 규제 강화를 위한 대통령 각서에 서명해 의약품 광고에 잠재적 부작용과 위험성을 명확히 표기하도록 하고 소셜미디어상 불투명한 홍보를 단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로써 제약업계는 광고 규제 강화와 고율 관세라는 ‘이중 압박’에 직면하게 됐다.

농업계도 여파를 피하기 어렵다는 관측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로 발생한 수익을 농민 지원에 활용하겠다고 언급했지만 단기적으로는 농산물 수출 감소와 공급망 불안정으로 농가 피해가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책 효과 역시 논란이다. 백악관은 관세를 통한 제조업 유턴과 제약 산업 정비를 내세우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글로벌 공급망 교란, 약가 인상, 농가 보조금 논란 등 복합적 파장이 불가피하다고 보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