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연준, 다음주 금리 인하 착수 전망…고용 통계 대규모 하향 조정도 압박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워싱턴DC의 연방준비제도 청사. 사진=로이터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이르면 다음주부터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미국 노동부가 지난 1년간 일자리 증가 규모를 기존 발표보다 91만1000개 적게 수정하면서 노동시장 둔화 우려가 커진 가운데 시장에서는 연내 최대 세 차례의 금리 인하를 예상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과 폴리티코가 9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 노동시장 냉각, 연준 ‘명분’ 강화


미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국은 2024년 3월부터 2025년 3월까지 비농업 부문 일자리 증가가 기존 집계보다 91만1000개 적었다고 이날 발표했다. 이번 잠정치에 따르면 월평균 신규 고용은 14만7000명에서 절반 이하인 7만명 수준으로 줄어든다. 최근 발표된 8월 고용 증가도 2만2000명에 그치며 6월에는 4년 반 만의 일자리 순감소가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수정치가 연준의 금리 정책에 중대한 영향을 줄 것으로 내다봤다. BMO의 살 과티에리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자료는 연준이 다음주 금리를 내릴 또 다른 이유를 제공한다”고 지적했다.

◇ 9월·10월 연속 인하 예상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파생상품 시장에서 투자자들은 연준이 오는 16~17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금리를 현행 4.25~4.50%에서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어 10월 회의에서도 같은 폭의 인하가 단행될 것으로 투자자들은 보고 있다. 연말 12월에도 세 번째 인하 가능성이 크지만 내년 1월까지 네 번째 인하가 이뤄질 확률은 40% 미만으로 낮아졌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지난달 “노동시장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신중한 완화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여전히 2% 목표를 웃도는 물가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변수로 남아 있다는 관측이다. 연준은 이번주 발표될 두 건의 물가 지표를 토대로 추가 판단에 나설 예정이다.

◇ 노동통계국 신뢰성 논란…정치적 파장

이번 대규모 하향 조정은 정치적으로도 큰 파장을 낳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조 바이든 전 대통령 시절 통계 조작 의혹을 제기하며 노동통계국을 강하게 비판했고 지난달 에리카 맥엔타퍼 국장을 해임했다. 후임으로 보수 성향 싱크탱크 헤리티지재단 소속 이코노미스트 E.J. 안토니를 지명했으나 정치적 편향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로리 차베즈-드레머 노동부 장관은 성명을 통해 “이번 대규모 하향 조정은 노동통계국이 더 이상 신뢰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며 “바이든 행정부에서 구식 방식에 의존한 결과 신뢰를 잃게 됐다”고 주장했다. 전문가들은 연준의 정책 방향과 맞물려 노동통계국의 신뢰성 논란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