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美 제조업 일자리, 4월 이후 4만2000개 감소…관세·이민 단속 여파

지난 2022년 4월 11일(현지시각) 미국 일리노이주 노멀에 있는 리비안 전기차 공장에서 직원들이 조립 라인에서 작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22년 4월 11일(현지시각) 미국 일리노이주 노멀에 있는 리비안 전기차 공장에서 직원들이 조립 라인에서 작업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제조업 일자리가 급격히 줄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조업 부활을 내세우며 관세와 이민 단속 등 강경 정책을 밀어붙이고 있지만 오히려 고용 시장은 위축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 제조업 고용, 8월 한 달 1만2000개 감소


9일(현지시각) CBS뉴스에 따르면 진보 성향 싱크탱크 미국진보센터(CAP)는 미 노동부 자료를 분석해 내놓은 보고서에서 미국 제조업 부문이 지난 한 달 동안 1만2000개의 일자리를 잃었으며 4월 이후 총 4만2000개가 줄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 누적 감소폭은 3만3000개에 달했다. 특히 자동차·가전·전자 등 내구재 산업에서 타격이 컸다.
노동부 집계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제조업 고용 규모는 1270만명 수준으로 지난해 8만7000개 일자리가 사라진 데 이어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 관세와 정책 불확실성에 기업 ‘방어 모드’


CAP는 제조업 고용 감소의 원인으로 △철강·알루미늄 등 수입품에 대한 고율 관세 △이민 단속 강화 △재생에너지 세제 혜택 축소가 포함된 세제·지출 법안을 꼽았다.

이번 보고서를 펴낸 경제학자 사라 에스트렙은 “기업들이 매일 바뀌는 정책 환경에 혼란을 겪고 있다”며 “생산 계획이 불투명해 고용 확대를 꺼리고 있다”고 말했다.

농기계 전문업체 존디어는 지난 8월 실적 발표에서 약 3억 달러(약 4080억 원)에 달하는 관세 관련 비용을 공개하면서 일리노이·아이오와 공장에서 200명 이상을 감원한다고 밝혔다. 자동차업계도 지난 7월 약 5000명 감원을 발표했다.

◇ 법적 불확실성과 경기 둔화 압박


트럼프 대통령은 국가비상경제권법(IEEPA)을 근거로 관세를 부과했지만 지난달 연방항소법원은 위법 판결을 내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판결을 저지하기 위해 연방대법원에 재검토를 요청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법적 불확실성이 제조업 투자와 고용 확대를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EY-파르테논의 그레고리 다코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기업들이 원가 상승과 수요 둔화라는 이중 압박을 받고 있다”며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인력 구조조정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 이민 단속도 고용 위축 요인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 단속 강화도 제조업 고용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지적한다. 다니엘 올트먼 하이일드이코노믹스 발행인은 “제조업의 일부 업종은 이민자 노동력에 크게 의존해왔다”며 “노동 공급을 줄이면 기업들이 자동화 투자를 늘릴 유인이 커진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지난주 조지아 현대차·LG 합작 공장에서 한국인 300여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했으며 소매·농업·건설업에서도 불법고용 단속을 확대하고 있다.

톰 호먼 백악관 국경담당 특보는 CNN과 인터뷰에서 “앞으로 더 많은 사업장 단속이 이어질 것”이라며 “기업들이 불법체류자를 고용하는 이유는 값싸게 부려 경쟁업체를 누르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 장기적 구조 변화도 부담


전문가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이후 자동화 투자가 급증하면서 제조업 일자리 감소가 구조화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올트먼은 “노동생산성이 크게 개선됐지만, 이는 더 적은 인력으로 동일한 생산량을 가능하게 했다는 뜻”이라며 “자동화와 기술투자가 제조업 고용 축소의 장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