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트럼프 반도체 보조금 지분 요구 역풍에 기술주 타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인텔에 정부 지분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 기술주를 압박하고 있다.

관련 보도가 처음 나왔을 때에는 인텔 경영이 정상화될 것이란 기대로 인텔 주가가 뛰었지만 이후 국유화 얘기까지 나오면서 되레 시장에 충격을 주는 악재로 탈바꿈했다.

특히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19일(현지시각) CNBC와 인터뷰에서 인텔에 그치지 않고 대만 TSMC나 한국 삼성전자 등에도 반도체법 보조금 지원을 대가로 지분을 요구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 시장 분위기가 뒤숭숭해졌다.

보조금 받으면 지분 내놔야

러트닉 장관은 조 바이든 전 행정부가 아무런 대가 없이 반도체 업체들에 미 납세자들의 세금을 퍼줬다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그렇게 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미국에 반도체 공장을 짓기로 한 반도체 업체들에 바이든 행정부가 막대한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한 것은 공짜 돈을 주겠다는 것이라면서 정부가 보조금을 주는 대신 지분 일부를 가져야 한다고 러트닉은 주장했다.

그는 인텔 지분 10%를 미 정부가 보유해 최대 주주가 될 것이라는 보도에 대해 경영권 없는 지분이 될 것이라며 이를 기정사실화하며 이같이 말했다.

러트닉은 미 정부가 지분을 확보할 대상으로 인텔 뿐만 아니라 역시 보조금을 받기로 한 TSMC와 삼성전자 등 외국 기업도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바이든 행정부가 약속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지는 않겠지만 보조금을 받는 기업들은 반대급부로 지분을 일부 내놔야 한다는 것이다.

산업 정책 전환점


보조금을 받기로 한 미 국내외 기업들은 날벼락을 맞은 셈이 됐다.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 수급 기업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글로벌 파운드리스, 텍사스 인스트루먼츠(TI) 등 미국 기업과 TSMC, 삼성전자 등 대만과 한국 기업이 있다.

백악관이 정부 지원을 받는 기업들이 회사 지분 일부를 내놓도록 정책을 조율하고 있는 것은 미 산업 정책 기조가 근본적으로 새로운 판을 짜게 됐음을 뜻한다.

그 출발점인 인텔 지분 확보는 이미 시장에 의도치 않은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인텔 주가는 초반에는 흐름이 좋았다.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을 지원하면서 지분 일부를 확보할 것이란 보도 속에 인텔 주가는 이달 들어서만 30% 넘게 폭등했다. 일본 소프트뱅크가 인텔에 20억 달러를 투자하고 지분을 일부 받기로 했다는 보도로 11일에도 인텔은 큰 폭으로 올랐다.

그러나 순익 전망에 변화가 없는 가운데 주가만 천정부지로 치솟으면서 인텔은 고평가 논란 속에 20일 7%대 급락세로 방향을 틀었다.

1년 뒤 주당순익(EPS) 전망치를 기준으로 한 인텔 주가수익배율(PER)은 58배로 치솟았다. 2022년 이후 최고 수준이다.

부정적인 정부 개입 효과


래퍼 텐글러 인베스트먼츠 최고경영자(CEO)이자 최고투자책임자(CIO)인 낸시 텐글러는 인텔 정부 지분 참여가 미 납세자들은 물론이고 반도체 업계에도 혜택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특히 업계는 정부가 반도체 업체들 지분 확보에 나설 경우 이들의 의사 결정이 정부 정책과 조율돼야 할 것이어서 제약을 많이 받을 것이란 우려가 높다.

트럼프는 인텔 지분 확보 이전에도 엔비디아와 AMD에 중국 수출을 허용하는 조건으로 중국 매출의 10%를 수수료로 내도록 함으로써 기존 산업정책의 틀을 깼다.

이후 엔비디아와 AMD 주가는 내리막 길을 걷고 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