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인텔에 대한 직접 개입 방침 재확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국 종합 반도체 제조업체 인텔에 지급하기로 한 반도체 지원법 자금을 무상 보조금이 아니라 지분 투자로 전환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미국 제조업 리쇼어링(자국 회귀)’ 기조 속에 반도체 핵심 기업에 대한 정부 개입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은 19일(이하 현지시각) CNBC 방송에 출연한 자리에서 “우리는 이미 약속된 반도체 지원법 자금을 전달하되 그 대가로 지분을 받아야 한다”며 “이 지분은 의결권이 없는 형태로, 지배권 확보 목적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조 바이든 전 행정부는 기업들에 돈을 무상으로 줬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납세자들에게 실질적인 이익이 돌아가도록 하겠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백악관은 인텔 지분 10% 확보 방안을 논의 중이며 성사될 경우 미국 정부가 최대 주주가 될 수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도 CNBC 인터뷰에서 “이번 전환은 단순히 보조금을 바꾼 것이며 인텔이 반도체 생산을 안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 기업들에 인텔 제품 구매를 강제하려는 것은 아니며 시장 안정을 위한 지원”이라고 덧붙였다.
이 같은 소식에 인텔 주가는 약 7% 급등했다. 전날 일본 소프트뱅크가 20억 달러(약 2조7800억 원)를 투자해 2% 지분을 확보한다고 발표한 데 이어 미국 정부까지 개입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시장 기대가 커졌다.
인텔은 지난해 188억 달러(약 26조1400억 원) 손실을 기록하며 1986년 이후 첫 연간 적자를 냈다.
인텔은 지난 2022년 제정된 반도체 지원법으로부터 약 79억 달러(약 11조 원)를 지원받기로 합의했다. 같은 법으로 대만 TSMC도 66억 달러(약 9조1400억 원)를 확보했다. 인텔은 이 자금을 바탕으로 오하이오주 콜럼버스 인근에 ‘실리콘 하트랜드’라 불리는 대규모 반도체 공장을 짓고 있으며 첫 공장은 2030년 가동 예정이다. 그러나 시장 침체 탓에 공사 속도가 늦춰지고 있다.
러트닉 장관은 “세금을 투입하는 만큼 단순 보조금이 아니라 지분 투자로 전환해야 한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무상 지원이 아닌 납세자를 위한 투자라는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