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금 넘어설 잠재력...자본 유입이 관건”
이미지 확대보기11일(현지 시각)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비트코인 초기 투자자이자 온체인 분석가인 윌리 우는 전날 라트비아 리가에서 열린 ‘발틱 허니배저(Baltic Honeybadger)’ 콘퍼런스에서 “비트코인이 향후 1000년간 완벽한 자산이 될 것”이라고 치켜세웠다.
그는 다만 “비트코인이 세상을 바꾸려면 충분한 자본이 유입돼야 한다”면서 “비트코인이 훨씬 더 많은 자본을 유치하지 않는 한 미국 달러와 금을 추월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자본 유입 필요성도 동시에 강조했다.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현재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2조4200억 달러로, 금의 시가총액(23조 달러)의 11%에도 채 못 미친다. 미국 달러의 통화 공급량은 21조9000억 달러 규모다.
우는 이어 비트코인이 세계 기축 자산으로 자리 잡는 데 최소 두 가지 장애물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트코인 재무 기업들이 채택을 가속화하고 있지만, 이들의 부채 구조에 대한 정보가 거의 공개되지 않아 ‘비트코인 재무 거품’이 터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우는 “부채 구조를 심층적으로 들여다본 경우가 사실상 없으므로 약한 기업들은 결국 무너질 것이고, 많은 투자자가 큰 손실을 볼 수 있다”면서 일부 알트코인 재무 기업들도 같은 전략을 쓰고 있어 “또 다른 거품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시장이 대규모 조정이나 약세장에 접어들 경우 비트코인 재무 채택이 어떻게 전개될지 우려를 표했다.
우는 이어 현재 시점에서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와 연기금 중심의 투자 방식이 정부 개입을 초래할 수 있다면서 이는 정부 주도의 ‘러그풀(rug pull·갑작스러운 자산 회수)’ 가능성을 높이는 위험 요소라고 진단했다.
이수정 기자 soojunglee@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