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7월 근원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달보다 더 큰 폭으로 오를 것으로 예상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고율 관세 정책이 가구·레저용품 등 일부 품목 가격에 반영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다.
10일(이하 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경제학자 설문 중간값은 7월 근원 CPI가 전월 대비 0.3% 상승할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기초 물가’를 보여주는 지표로 올해 들어 가장 큰 폭의 상승이 될 전망이다.
미국 정부는 7월 기준 CPI 수치를 오는 12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전체 CPI 상승률은 휘발유 가격 하락 영향으로 0.2%에 그칠 것으로 보인다. 즉 식품·에너지를 뺀 근원 CPI는 다른 상품·서비스 가격 상승분이 고스란히 반영돼 오름폭이 크지만 이를 포함한 전체 CPI는 에너지 가격 하락이 상승분을 일부 상쇄한 셈이다.
◇ 관세 인상, 소비재 가격에 점진적 반영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수입관세는 가구, 여가·레저용품 등 소비재 가격에 서서히 반영되고 있다. 다만 서비스 부문 근원 물가 상승률은 아직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경제학자들은 관세 부담이 앞으로 점진적으로 확대될 가능성을 경고했다.
미 연방준비제도는 올해 금리를 동결한 채 관세가 지속적인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질지 여부를 관망하고 있다. 그러나 고용 시장 둔화 조짐이 나타나면서 연준의 정책 운용에도 부담이 커지고 있다.
◇ 소매판매·생산 지표 주목
경제학자들은 15일 발표될 7월 소매판매가 아마존 프라임데이 행사와 자동차 판매 인센티브 영향으로 증가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블룸버그 이코노믹스의 안나 웡, 스튜어트 폴 등 이코노미스트들은 “기업들이 가격 인상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가계의 실질 가처분소득 증가율이 팬데믹 시기 고점의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고 6월에는 오히려 감소했기 때문”이라며 “명목 기준으로는 7월 소매판매가 견조했을 수 있지만 이를 소비 회복으로 단정해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자동차 판매점을 제외한 소매판매 증가율은 더 완만할 것으로 전망되며 물가 변동을 반영한 실질 기준으로는 소비가 여전히 부진하다는 신호를 줄 가능성이 있다. 같은 주 발표될 연준 제조업 보고서도 관세 정책 변화 속에 공장 생산이 정체된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