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매물도 없는데 가격만 고공행진…서울아파트 '불장' 누가 막으랴

양도세 중과 규제 이후 '매물 잠김' 뚜렷...7월 서울 아파트 평균매매가 11억 돌파
정부 '고점론' 경고 비웃듯 가격 상승폭 키워 "슈급 불균형 지속땐 집값안정 난망"

김하수 기자

기사입력 : 2021-08-21 08:00

매물 게시판이 비어 있는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사진=뉴시스이미지 확대보기
매물 게시판이 비어 있는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사진=뉴시스
정부의 잇단 ‘집값 고점’ 경고에도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거래절벽’ 현상이 장기화되며 주택을 팔려는 사람보다 사려는 사람이 많은 수요 우위 기조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아파트 수요는 넘치는데 공급이 계속 줄어들 경우 가격상승 압력이 더 커질 것으로 진단하고 있어 ‘집값 고공행진’이 예상된다.
20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량(19일 기준)은 총 3만 447건으로 지난해 1~8월 기간 매매량 5만 9128건의 절반 수준(48%)에 그친다. 올해 7월 매매거래의 신고기간이 2주 가량 남았고, 8월 매매도 아직 집계 중이지만 지난해 수준을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처럼 서울지역 아파트 거래가 줄어든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다주택자를 대상으로 하는 양도세 중과 규제와 아파트 가격급등 여파를 꼽는다.

다주택자들이 거액의 양도세를 내는 매매 대신 증여로 방향을 틀은데다 집값이 계속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까지 겹쳐 ‘매물 잠김’이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양도세 중과 규제 시행 이후 매물이 매매시장으로 나오는 대신 증여로 돌아가고 있다”고 전하며 “여기에 집값 상승으로 매매 진입이 어려워진 점, 취득세 상승 등도 매물 감소의 직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거래는 줄고 있지만 가격은 계속 오르고 있다. 집을 팔려는 공급보다 집을 구하려는 수요가 더 많은 탓이다.

한국부동산원 집계에서 8월 셋째 주(16일 기준) 서울의 아파트 매매가격은 0.21% 올라 지난주(0.20%)보다 상승폭을 더 키웠다. 지난 2018년 9월 셋째 주(0.26%) 이후 2년 1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오른 것이다.

서울지역 아파트 값 상승은 이른바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 등 중저가 단지가 많은 강북지역과 고가 단지가 많은 강남권이 나란히 이끌고 있다.

부동산원은 “대체로 거래활동이 줄었으나 재건축사업이 추진되는 단지나 주요 인기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나오면서 집값 오름세가 이어지는 양상이다”고 풀이했다.

서울 집값의 오름세가 가팔라지면서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이 11억 원을 넘어섰다.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2년 1월 이후 처음이다.

부동산원의 월간주택가격 동향에서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1억 930만 원으로, 직전 6월(9억 2813만 원)보다 1억 8000만 원가량 급등했다.

부동산원이 집값 통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7월부터 표본 수를 1만 7190가구에서 3만 5000가구로 2배 이상 늘리자 한 달 사이 가격 상승폭이 20% 가까이 급증했다는 분석이다.

부동산시장에서는 이같은 서울 집값 상승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주택 수급의 불확실성이 큰데다 정부의 부동산정책 신뢰도가 떨어지면서 부동산시장에서 불안 심리가 확산돼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홍남기 경제부총리,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이 나서 ‘집값 고점론’을 강조하며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음), ‘빚투’(빚 내서 투자)의 위험성을 잇따라 경고하고 있지만, 시장은 그럴수록 더욱 과열로 치닫는 양상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 부동산전문위원은 “저금리와 시중에 풀린 막대한 유동성, 자산이나 소득요건 때문에 주택 수요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는 사전청약, 양도세 중과에 따른 매물 절벽, 임대차법 부작용에 따른 전셋값 급등으로 빚어진 내 집 수요 증가가 집값 불안의 핵심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도 “정부가 몇 년 뒤 분양할 것이라고 발표한 불확실한 주택공급 계획이 현재 주택시장을 안정화 시키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올해 또는 내년까지 입주 가능한 주택 수가 확보되지 않으면 공급물량이 얼마가 됐든 (주택시장 안정과는) 큰 의미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하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skim@g-enews.com
혼다 신형 CR-V와 파일럿, 캠핑에 어울리는 차는?
운전 베터랑 아나운서들의 리뷰 대결 골프 GTI vs. TDI 승자는?
아우디에서 가장 빠른 전기차 RS e-트론 GT
아우디 e-tron GT vs. 아이오닉 5 N 비교할 수 있을까?
이번엔 더 무서운 차 끌고 나왔다! 벤츠 E 300 4MATIC AMG Line
국내 1, 2위 다투는 수입차, 벤츠 E와 BMW 5 전격 비교
숨은 진주 같은 차, 링컨 노틸러스 ... "여긴 자동차 극장인가?"
가장 현실적인 드림카, 벤츠 디 올-뉴 CLE 450 4MATIC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