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지난 8월 ‘반려동물 연관산업 육성대책’에서 반려동물 연관산업을 육성해 새로운 생산·소비를 창출하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4대 주력산업 육성, 성장 인프라 구축, 해외 수출산업화 등 3대 추진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추진 체계를 새롭게 구축하기로 한 것도 이 같은 추세를 고려한 조치다. 정부는 반려동물 연관산업 시장 국내시장 규모가 지난해 8조원으로 세계시장 대비 1.6% 수준(추정)이며 내수시장 중심으로 성장 중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반려동물에 적합한 분류·표시·평가 제도와 인프라 등 정책적 지원이 전반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동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향후 관광업계에서도 반려동물 동반여행 시장의 비중이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반려동물 동반여행에는 반려동물을 위한 편의시설 및 서비스 부족, 비반려인의 부정적인 시선 등으로 인해 제약이 많다. 세계 각국에선 이 같은 제약사항을 해소하고 반려동물 동반여행을 활성화하기 위해 교통·숙박 등 여행 인프라 분야 상품 및 서비스 개발, 정부 차원의 제도적 기반 마련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처럼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반려인과 비반려인 간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에 격차가 있고 책임감 있는 반려동물 문화 조성이 미흡한 실정이다. 반려동물 동반여행의 만족도는 여행지에서의 반려동물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등에 영향을 받는다. 반려인과 비반려인이 슬기롭게 공존할 수 있는 사회적·제도적 기반을 마련해야 할 때다. 아울러 반려동물 특화지역 또는 관광지를 조성하는 것도 반려동물 동반여행 활성화를 위해 고려해볼 만하다. 아직도 미흡한 국내 반려동물 문화를 고려했을 때 정부 또는 공공 차원에서 반려동물 친화 마을을 육성하고 반려동물 친화 여행지 모범 사례를 만들어가는 것도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반려동물 친화 마을을 조성할 때 공식 웹사이트,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의 채널을 통해 반려동물 전용시설과 서비스 등에 관한 정보를 다양한 국가의 언어로 제공하면 외국 관광객들의 유입도 기대해볼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여행 패키지 상품 등 반려동물 관련 여행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마련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관심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면 관광산업뿐 아니라 펫케어 산업, 반려동물 식음료 산업 등 연관산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는 반사적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조용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ccho@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