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산업부·조선3사, 액화수소 운반선 추진단 출범…미래 선박 개발 박차

고난도 기술 요구 '미래 선박'
연구개발 과제 조율 역할 맡아
액화수소 운반선 조감도. 사진=산업통상자원부이미지 확대보기
액화수소 운반선 조감도. 사진=산업통상자원부
HD현대중공업, 한화오션, 삼성중공업 등 한국 조선 3사와 정부, 학계가 모여 수소 에너지 사회에 필요한 액화수소 운반선 개발에 힘을 모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부산 벡스코에서 '액화수소 운반선 민관 합동 추진단' 출범식을 열었다고 9일 밝혔다.

액화수소 운반선은 한국이 기술 우위에 있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을 이을 미래형 선박으로 꼽힌다. 기체 수소를 영하 253℃로 액화시켜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이기 때문에 운송 효율을 10배 이상 높일 수 있다. 기술 난도가 매우 높은 만큼 부가가치도 커 조선업 선진국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아직 상용화된 대형 선박이 없다.

산업부는 지난해 '액화수소 운반선 초격차 선도전략'을 발표하고 △핵심 소재·부품·장비 원천기술 확보 △실증·대형화 △민관 협업체계 구축 등 3대 추진 전략으로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총 555억원을 지원하고, 2027년까지 세계 최대 규모의 실증 선박을 건조할 계획이다.
민관 함동 추진단은 101개 기관이 43개 액화수소 운반선 연구개발(R&D) 과제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유기적인 연계와 협력을 조율하는 역할을 맡는다. 추진단에는 산업부와 조선 3사, 대학, 연구원 등의 액화수소 운반선 관련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추진단은 △R&D 과제 간 연계와 협력 △실증 선박 건조 협력 △액화수소 기자재 공급망 구축 등에 집중하며 액화수소 운반선 상용화를 지원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 국제표준이 될 수 있도록 관련 법제를 정비하고 대형 액화수소 운반선 기술을 조기에 확보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액화수소 운반선은 무탄소 미래 에너지로 여겨지는 수소가 상용화되면 수요가 늘 것"이라며 "선박 건조 기술에 더해 내구성이 우수한 LNG 저장 탱크로 LNG운반선 건조 경쟁력을 확보한 것처럼 액화수소 운반선 상용화도 선제적으로 이룰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