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KT 차기 CEO, 정권 낙하산 인사?…정치권도 '예의주시'

후보자 33명 중 전현직 정치권 인사 다수있어
불투명한 선발과정에 의심만 더욱 커지는 상황
KT "회사 내규과 절차, 이사회 규정따라 선임"
KT의 이사회가 CEO 후보 접수를 마무했다. KT 광화문지사 사옥 모습. 사진=이재현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KT의 이사회가 CEO 후보 접수를 마무했다. KT 광화문지사 사옥 모습. 사진=이재현 기자
KT가 차기 최고경영자(CEO) 선정에 나선 가운데 정권의 보은성 인사가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업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지난 16일 대표이사 후보군 33명을 구성했다고 발표했다. 그 중에서는 전현직 정부 출신 인사 다수가 CEO 후보에 올라온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KT는 해킹과 무단 소액결제 사태가 발생하면서 휘청거리는 상황이다. 때문에 위기 관리 리더십을 겸비하고 신사업으로 밀고 있는 인공지능(AI)에 대한 전문가가 차기 CEO로 선임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KT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기업경영고가와 산업, 리더십·커뮤니케이션 등 분야의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인선자문단을 운영하고 오는 12월까지 최종 CEO후보를 결정한다. 이 과정에서 정치권 낙하산이 내려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 것이다.

낙하산 논란이 발생한 것은 민영화된 지난 2002년부터다. 뿐만 아니라 외압을 통해 밀어내고 정권 입맛에 맞는 인사를 단행한다는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과거 및 현 정권 출신자들이 후보자 이름으로 거론되다보니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다양한 정치권 인사들중에서 KT 대표이사로 선임될 것이라는 소문들이 나돌고 있다. A 후보의 경우 전직 KT사장과 친밀한 관계라 이번 후보자 선정에 나오지 않을 것을 요청해 CEO 후보군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또 B후보는 지방선거를 포기하고 KT CEO 후보자로 등록했다는 등의 얘기가 오가고 있다. 특히 정치권에서 이들의 행적과 이력을 조회해 정치권 인사 낙점설에 무게가 실렸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KT가 민영화됐지만 국가 통신사업에서 큰 역할을 차지하는 만큼 CEO 선정과 관련해 정치권에서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며 "특히 결격 사유가 있는 낙하산 인사일 경우 정치권에 타깃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처럼 언급만으로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KT CEO 선정 과정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란 지적이 있다. KT이사회가 의견을 구하는 인선자문단은 구성될 때 누가 직을 맡고 있는지 알 수 없다. 또 후보자 수는 공개하지만 공식적으로 누가 신청했는지 밝히지 않다보니 어떤 사람이 더 최선의 선택인지 공감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 민영화 직후 통신 기업이지만 관련 전문성이 전무한 인물이 발탁된 바 있었기 때문에 불투명한 선발 과정이 의심을 낳는다는 것이다.

KT는 지난 8월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을 사용한 개인정보 해킹과 무단 소액결제 등의 사태로 내부적으로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이와 함께 AI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전문성이 부족한 정치권 낙하산 인사를 CEO로 선정할 시 경영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통신업계 한 관계자는 "매번 CEO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동일한 논란이 발생하고 있다"며 "후보자와 자문단 등 모든 정보를 공개해 투명한 선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치권 낙하산 논란에 대해 KT 관계자는 "회사 내규와 절차, 이사회 규정 등을 바탕으로 자문단의 의견을 받아 선정하고 있다"고 일축했다. 일각에서는 오히려 투명하게 공개할 경우 로비 등의 비리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지금과 같은 형태로 선정하는 게 타당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 또 오히려 낙하산 인선이 어렵다라는 의견도 나왔다. 해킹과 무단 소액결제, AI 등 풀어야 할 산적한 상황에서 비전문가의 경우 KT를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부 인원이나 사업 전문가가 선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