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글로벌이코노믹 로고 검색
검색버튼

테슬라, 미국 판매 차량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 추진

월스트리트저널 “테슬라, 美·中 갈등 속 ‘탈중국’ 전략 속도”
중국 상하이의 테슬라 기가팩토리3.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상하이의 테슬라 기가팩토리3. 사진=로이터

세계 최대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미국에서 생산해 미국 시장에 판매하는 전기차에서 중국산 부품을 전면 제외하는 방향으로 공급망을 재편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5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중 갈등과 관세, 수출 통제 등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테슬라가 미국 생산 차량의 핵심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하는 쪽으로 전략을 급격히 전환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WSJ에 따르면 테슬라는 올해 초부터 미국 공장에서 생산하는 차량에 중국 현지 공급업체가 만든 부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방침을 내부적으로 확정했고 일부 부품은 이미 중국산을 대체해 생산지를 변경했다. 여러 소식통은 테슬라가 앞으로 1~2년 안에 남은 부품들도 모두 중국 외 지역에서 만든 제품으로 전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 당시 중국에서 출발하는 물류가 막히면서 공급망 충격을 크게 받은 이후 중국산 의존도를 낮추려는 노력을 이어 왔다.

테슬라는 중국 공급업체들이 멕시코나 동남아시아에 새 공장과 물류창고를 두고 부품을 생산하도록 유도해 왔으며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고율 관세를 다시 부과하면서 이런 흐름이 더 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은 전기차 배터리와 반도체, 희토류 자석 등 자동차 생산에 필수적인 부품과 소재의 핵심 생산국이다. 낮은 생산비와 큰 규모의 공급망 덕분에 가격 경쟁력이 높아 대부분의 완성차 업체가 중국산 부품에 의존해 왔다.

그러나 WSJ는 “미·중 관세가 수시로 변하면서 테슬라가 안정적인 차량 가격 정책을 수립하기 어려워진 점이 ‘중국산 배제’ 전략을 강화한 배경이 됐다”고 분석했다.

최근에는 중국과 네덜란드 간 갈등으로 차량용 반도체 공급이 막히면서 테슬라 내부에서 공급망 위험을 낮추기 위한 논의가 더 강해진 것으로 전해졌다. 네덜란드 반도체 업체 넥스페리아가 중국에서 포장·가공한 차량용 칩을 중국 정부가 수출하지 못하게 하면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조명과 전장 부품 생산에 차질을 빚었기 때문이다. 이후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회담을 계기로 일부 수출이 재개되기는 했지만 양국 간 이견은 여전히 남아 있다.

미국은 테슬라의 최대 시장이며 미국 도로를 달리는 테슬라 차량은 모두 미국 공장에서 생산된다. 반면 중국 상하이에 있는 기가팩토리3에서 만든 차량은 중국과 아시아, 유럽으로 수출되지만 미국으로는 보내지 않는다.

WSJ는 “테슬라의 상하이 공장은 약 400개의 중국 공급업체와 협력해 왔으며 이 가운데 60여 곳은 테슬라의 글로벌 생산기지에도 부품을 공급해 왔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부터 시작된 테슬라의 ‘탈중국’ 전략은 시트 커버나 금속 케이스 등 주요 부품을 생산하던 중국 업체들이 멕시코나 동남아에 새 공장을 설립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왔다.

그러나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는 여전히 대체가 쉽지 않은 핵심 부품으로 남아 있다. 중국 배터리 제조사 CATL이 공급해 오던 이 배터리는 미국의 세액공제 기준과 대중 관세로 인해 미국 판매용 차량에서 제외됐고 테슬라는 미국 내에서 LFP 배터리를 자체 생산하기 위해 네바다 공장 증설을 진행 중이다.

WSJ에 따르면 바이바브 타네자 테슬라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 4월 미국 내 LFP 셀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며 중국 외 지역 공급망 확보에도 속도를 내고 있지만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한 바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맨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