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욕 주식 시장이 불안한 사상 최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미국 연방정부가 1일(현지시각) 새벽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에 들어갔지만 다우존스 산업평균,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500, 나스닥 지수 등 뉴욕 주식 시장 3대 지수는 지난주 일제히 사상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인공지능(AI) 투자 수요가 여전히 탄탄하다는 점이 입증되면서 주식 시장이 상승세를 이어갔지만 투자자들은 계속 불안해하고 있다.
셧다운에 따른 9월 고용동향 보고서 발표가 3일에 이뤄지지 않은 터라 불안감은 더 커지고 있다. 지금의 사상 최고 행진은 마치 주식 시장이 경제 지표라는 방향타 없이 하늘을 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경고도 나온다.
그러나 이런 우려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연말 랠리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는 낙관 전망이 강하다. 특히 조만간 3분기 기업실적 시즌이 개막하면서 주식 시장이 실적에 힘입은 상승 흐름을 지속할 것이란 기대감도 높다.
셧다운, 문제될 수도
미 상원은 3일 셧다운을 끝내기 위한 임시 예산안 표결에 나섰지만 민주당 방안, 공화당 방안 모두 부결됐다. 예상과 크게 다르지 않은 결과였다.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상원은 6일 다시 본회의를 열어 다섯 번째 임시 예산안 표결에 나설 전망이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민주당과 타협하는 대신 뉴욕, 로스앤젤레스(LA), 시카고 등 민주당 텃밭에 대한 연방정부 예산 집행을 차별적으로 중단하는 방식으로 압박하고 있는 터라 타협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아직 시장은 셧다운에 별다른 신경을 쓰지 않고 있지만 이런 흐름이 달라질 개연성은 충분하다.
셧다운이 길어지면서 각종 경제지표가 발표되지 않고, 이에 따라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경제 흐름을 파악하지도 못한 채 통화정책을 결정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깜깜이 속 금리회의
CNBC에 따르면 펀드스트래트 글로벌 어드바이저스의 경제전략가 하디카싱은 “이번에는 셧다운이 문제가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싱은 연준이 오는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고용 지표 없이 개최할 수 있다면서 핵심 경제 지표가 없다는 점은 통화정책 결정을 극도로 어렵게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노동부는 3일로 예정된 9월 고용지표 발표를 연기했고, 셧다운이 길어지면 15일과 16일로 각각 예정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도 발표가 연기될 수밖에 없다.
자칫 연준이 28~29일 고용과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관한 최신 경제 데이터 없이 FOMC 회의를 열어 깜깜이 속에 통화정책을 결정해야 할 수도 있다.
고용 둔화, 트럼프 관세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이 연준 금리 인하결정의 핵심 변수인 상황에서 최악의 정책 의사 결정이 이뤄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특히 트럼프가 리사 쿡 이사 해임을 통보하는 등 연준 독립성을 흔들면서 강력한 금리 인하를 압박하고 있어 연준의 운신의 폭이 매우 제한적일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이렇게 되면 불안한 사상 최고 행진 속에 매도 이유만 찾고 있는 투자자들은 매도 방아쇠를 당길 수도 있다.
시장 흐름을 거스르지 마라
그러나 월스트리트 전문가들은 연말로 가면서 주식 시장 상승세가 강화될 것이란 시장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거스르는 것은 큰 위험 부담이 따르는 일이라며 버티라고 주문하고 있다.
골드만삭스 자산운용 설립과 성장을 주도한 전설적인 투자자 레온 쿠퍼맨이 대표적이다. 헤지펀드 오메가 어드바이저스 창업자이기도 한 쿠퍼맨은 지금 주식 시장이 강세장 끝물이어서 변동성이 높을 것이라면서도 채권 등에 비하면 주식이 안전한 투자 수단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연준이 이달 29일과 12월 10일 FOMC에서 두 차례에 걸쳐 기준 금리를 내릴 것이 거의 확실하다는 점은 이런 강세장 전망의 근거다.
펀드스트래트 리서치 책임자로 대표적인 낙관론자인 톰 리는 S&P500 지수가 올해 말 최소 7000은 찍을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그는 셧다운을 이유로 비관에 빠질 이유는 없다면서 주가가 하락한다면 이는 저가 매수 기회라고 강조했다.
한편 연준은 오는 8일 FOMC 의사록을 공개한다.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결정한 연준이 지난달 16~17일 회의에서 어떤 논의를 했는지 구체적으로 알 수 있다.
김미혜 글로벌이코노믹 해외통신원 LONGVIEW@g-enews.com